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줄이기 위해 배의 흔들림이 가장 적은 한가운데 자리 잡았다.아라온 호는 극지의 해양
생물
과 지질, 기후변화를 연구할 수 있도록 100여 종의 첨단 장비를 갖췄다. 다중채널 탄성파 장비는 에어건에 충전시킨 압축공기를 발사해 충격파(진동수가 작은 저주파)를 일으키는 장치다. 해저면에 부딪혀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깃세포 부분.데후에이 박사는 “해면은 다량의 바닷물을 흡수한 뒤 그 안에 있는 미
생물
을 걸러먹기 때문에 독소나 병원체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체내에 독소를 남기기 않기 위해 깃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는 동시에 떼어내 버리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해면 전체의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착용하고 외출 뒤 손을 꼭 씻으며 개인위생에 신경을 써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생물
제제과 강석연 과장은 “임상시험에서 백신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기준은 항체 생성률이 60~70% 이상인지 여부”라고 말했다. 이 기준을 넘고 안전상 별다른 문제가 없으면 백신은 허가된다는 뜻이다. 녹십자가 ... ...
수능 가중치 유리하게 활용하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의학전문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고 생명과학이나 생명공학,
생물
, 화학 관련 학과의 합격선이 동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난해부터 약대 모집이 줄어들면서 자연대의 일부 모집 단위는 합격선이 계속 올라가는 추세다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s의 속도로 날아오는 이 입자들이 생명체에 직접 접촉된다면 지구에는 살아남을 수 있는
생물
이 하나도 없을 것이다. 태양풍 안에 포함된 일부 입자들이 밴 앨런 벨트를 통과해 대기권 가까이 접근하는 경우도 있다. 이 입자들이 대기권 속에 포함된 전자들(이온)과 부딪히면 강한 빛이 발산된다. ...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최대 90%가 암으로 죽는다. 사람도 사망원인의 23%가 암이다. 미국 로체스터대
생물
학과 베라 고부노바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세포가 접촉에 민감해 주위에 세포가 가까이 있을 경우 세포분열을 멈추는 게 암이 생기지 않는 이유라고‘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에 발표했다.보통 암세포는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때문이다.2008년 현재 전국 멧돼지 개체 수는 26만 7000마리로 추정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
생물
자원관의‘야생동물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전국 주요 산악지대에서 관찰된 멧돼지 개체 수는 1km2당 4.1마리로, 2007년(3.8마리)보다 8% 가량 증가했다. 농작물 피해를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향기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재밌지 않은가.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
생물
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 ...
Part 1. 편견 부수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못 할 거라는 어른들의 생각은 정확하지 않은 근거에서 시작된 거야. 남자와 여자의
생물
학적인 차이가 수학 성적을 좌우하진 못해.넷째 손가락이 길면 수학을 잘 한다?성별이 아닌 외형적인 차이가 수학 실력을 좌우한다는 주장도 있다. 영국의 연구팀은 7세 어린이 75명의 손가락 길이를 잰 다음 ... ...
작은 로봇이 인간의 뇌를 탐구한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작은 로봇 ‘칼’을 만들었습니다. 칼은
생물
학적인 신경계를 가진 ‘뉴로 로봇’으로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 모델로 조종할 수 있습니다.연구팀은 쥐의 의사결정 능력을 기록해 칼의 두뇌 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했습니다. 쥐의 의사결정 능력은 쥐에게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