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5,02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12
등. 게다가 2010년 경에는 화학살충제나 화학비료 대신 인체에 영향이 없는
생물
살충제나
생물
비료가 등장할 것이다.환경문제도 크게 개선된다. 2006년 경에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프레온가스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화석연료의 사용이 줄어듦에 따라 2016년 경에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도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12
고
생물
학자 폴 세레노가 사하라사막에서 두 종류의 새로운 공룡화석을 발견됐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Jobaria tiguidensis )는 긴 목과 큰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1억3천만년 전에 나타난 초식공룡인 용각류의 원시형태로 보인다. 다 자란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는 몸무게가 20t, 길이는 20m에 ... ...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912
완수되고, 2003년 마침내 인간 유전자의 비밀문자가 완전히 해독된다. 이미 30여종의
생물
게놈연구는 완료된 상태다. 총 30억달러의 비용 부담을 감수하며 야심차게 추진해온 인간게놈프로젝트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던져줄까. 그리고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후속 연구과제는 무엇일까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12
인간게놈프로젝트는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요구하는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만약
생물
게놈의 길다란 DNA를 한꺼번에 죽 해독할 기술이 있다면 연구는 간단히 끝난다(세포 하나에 존재하는 DNA를 모두 연결하면 길이가 약 1.5m에 달한다).DNA 실타래 풀기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이 일이 불가능하다.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
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12
게놈 연구결과가 계속 보고되면서, 우리는 개별적인 생체부품뿐 아니라 생명체의 전체적인 윤곽을 볼 수 있게 됐다.
생물
의 모든 유전정보 ... 앞으로 수학과 전산학으로 무장한 이러한 새로운
생물
학자들이 대거 등장하게 됐을 때
생물
학 분야 전체에 커다란 혼란이 일어날지 모를 일이다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12
않고 몸의 어느 부분이든 떼어내 이를 복제하면 원래의
생물
과 똑같은 DNA를 가진
생물
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점은 올더스 헉슬리도 상상해내지 못했다.한편 복제에 의해 태어난 돌리가 생식능력을 갖지 못할 것이라는 추측은 기우였음이 드러났다. 돌리는 데이비드라는 웨일스산 숫양과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12
생물
들이 매일 지구에서 사라져가고 있다.대부분의 생태학자들은 중생대 말에 일어났던
생물
의 대절멸 사건과 같은 일이 앞으로 생길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그것은 소행성이나 혜성의 충돌 같은 자연재난이 아닌 사람에 의한 파괴행위 때문일 것이다. 오늘날 지구에 살고 있는 영장류의 3분의 1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11
것일까지진이 일어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내부가 마치 살아 움직이는
생물
처럼 계속해서 변화하는 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땅에는 석회동굴처럼 속에 빈 공간이 많이 있는데 이를 덮고 있던 흙이 무너져 내리면서 지진이 발생한다고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11
그녀는 초파리를 이용해 신체의 각 부분이 어떤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지를 밝혀냈다.
생물
의 몸(팔, 다리, 장기)을 형성하는 설계도면을 만드는 형태 형성 유전자를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태아의 기형과 조기유산의 원인을 밝히는데 밑거름이 됐다.그동안 과학분야 여성 노벨상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11
보았는지는 알 수가 없다. 색깔을 구별했을까? 공룡의 후예인 조류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
중 가장 날카로운 시력을 가지고 있으며 색깔을 구분할 수 있다. 매는 우리 인간보다 시력세포가 8배나 많고 타조의 눈은 테니스공 만하다. 조류의 눈동자 크기는 상대적으로 굉장히 커서 어떤 경우 뇌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