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재배한
자연
산 유기농 농산물만을 사용했다고요!”그러나 닥터고글이 고개를 젓는다.“
자연
산 식품이 무조건 깨끗하고 안전할 거라는 생각은 편견이에요.”깜짝 놀라는 요리사. 닥터고글이 요리사에게 자세히 설명해 준다.“복어나 버섯에 독이 들어 있는 건 잘 알려져 있지요. 복어독인 ... ...
자연
의 오선지 위에 그린 초록 교향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양치식물은 고생대인 4억 년 전부터 살아온 오래된 식물이에요. 지금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씨앗 식물보다 훨씬 먼저 태어났지요. 양치식물은 단순 ... 아름다운 리듬감이 생기듯 식물의 모양도 정교하게 반복되면서 경쾌한 기분을 느끼게 해 주죠.
자연
만이 만들 수 있는 최고의 음악이에요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것을 뛰어넘어 정말 살아움직이게 만드는 거야.최고의 특수 분장은 분장을 안 한 것처럼
자연
스럽게 보이는 거겠지? 올 여름 SF영화나 공포영화에서 괴물이나 귀신을 본다면 눈 크게 뜨고 어떤 특수 분장을 했는지 살펴봐. 어디서도 특수분장을 한 티를 못 찾았다고? 그럼 최고의 특수 분장을 본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일을 막기 위해 명주실로 5~6군데를 동여맨 다음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다시
자연
건조시킨다. 이렇게 쌍골죽으로 대금을 만드는데 약 1년이 걸린다.정상파가 만든 청아한 소리아무에게나 ‘천상의 소리’를 허락하지 않는 것일까. 대금은 만들기도 어렵지만 소리내기도 쉽지 않다. 누구나 한 ... ...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파인만학원 과학논술 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파인만학원과 학림논술, 메가스터디에서
자연
계 논·구술을 강의하고 있다.마이클리스-멘텐식과 르 샤틀리에의 원리를 알고 화학평형과 반응속도를 이해해 봅시다.Q1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생체 내에서 많은 ... ...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붙이다 보면 보호색의 원리를 저절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보호색이란 다윈이 제창한
자연
선택 사례 중 하나로 여러 동물이 주변 환경에 적응하며 발전시킨 형태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는 것.아무것도 없는 곳에 손을 댔더니 신기하게도 뭔가 나타난다?! 진화 과정에서 불필요해진 흔적기관을 ... ...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206쪽 | 1만 1000원수학에 자신이 없으면 수학만 못하는 게 아니다. 수학만큼이나 수식으로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물리학도 두렵기는 마찬가지. 물리학자인 저자는 물리학 교과서가 보여주는 방식이 아니라도 얼마든지 우리 주변의 현상을 물리학의 시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이 책에서 보이고 있다. ... ...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학부제에서 전문대학원 체제로 바뀌면서 기존의 예과 과정에서 이수했던 인문사회,
자연
과학 분야의 기본 지식을 선수과목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생물학 및 화학계열에서 6학점, 물리학 및 수학계열에서 3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어느 대학원이나 선수과목 이수 제한 없이 지원할 수 있다.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보성, 여수, 경남 고성으로 이어지는 한국 백악기 공룡해안(남해안 공룡 화석지)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등재하려고 노력 중이다. 한반도 공룡이 화면을 벗어나 세계로 날아오르려고 준비 중인 셈이다.수각류, 용각류, 조각류, 각룡류*공룡은 골반 구조에 따라 도마뱀 골반을 가진 용반류와 새의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뼈대에 핵심 부위만 바꾸는 방식으로 새로운 단백질을 만든다. 핵심 부위를 찾기 위해
자연
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단백질의 구조와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다. 그 뒤 단백질이 원하는 기능을 가지려면 핵심 부위를 어떻게 바꿔야 할지를 결정해 모델을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설계한 단백질을 실제로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