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변기
물
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꽉 막혔어. 아주 꽉. 뚫어뻥도 소용이 없어. 나 어떡해?!대체 얼마나 쌌길래 꽉 막혔냐? 기다려 봐.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수세식 변기의 원리를 파헤 ... 수세식 변기Part 1. 변기
물
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엄마, 주방에
물
이 안 나와. 오빠, 화장실은 어때?뭐야? 화장실도
물
이 안 나오잖아. 변기가 막힌 게 아니었어? 헐. 그럼
물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겠다. 엄마, 아 ... 수세식 변기Part 1. 변기
물
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Part 3.
물
먹는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든 생
물
은 단백질, 탄수화
물
, 지방 같은 여러 성분이 복합적으로 구조를 이루고 이
물
질끼리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전체를 알아야 생명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도 생명현상 전체를 보려는 노력의 일부다. 전체 단백질을 정리하면 단백질끼리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쉽게 ... ...
우주에서도 깨끗한
물
마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다른 화학
물
질이 들어 있는 원판을 이용하면 러시아연방우주국이
물
을 살균하기 위해 쓰는 은의 농도도 측정할 수 있다. 은이 많아질수록 원판은 노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한다. 지금까지 우주정거장의 수질을 분석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지구로 가져오는 것이었다.연구에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우주 방사선이 구름 형성에도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8월 25일 유럽입자
물
리연구소(CERN) 연구팀은 우주선이 대기 중의 에어로 ... 받는다고 해도 실제 생기는 에어로졸의 양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며 “앞으로 어떤
물
질이 더 관여하고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고 밝혔다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 호르몬 조절은 유전자로 조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유전자가 숙주 동
물
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인정받고 있다. 결과는 9월 9일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 ...
제2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수상작 - 스마트 그린, 스마트 그리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척추동
물
을 거쳐 인간에 도착한다. 인간이 생명의 나무에
물
을 주는 모습을 통해 생
물
종의 다양성을 지켜야 하는 의무를 표현했다.우수상 Faces 6th Mass Extinction? | 이하정6번째 대멸종이 인간의 손에 의해 벌어지고 있다. 인간의 이기심과 어리석음으로 대재앙이 일어난 어떤 섬의 모습을 통해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증발하는 수분도 많아진다. 육지에서
물
이 점점 사라지는 것이다. 또 광합성 하는 식
물
이 급격히 줄어들어 산소도 부족해진다. ‘하늘에서 본 지구 조직위원회’는 숲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숲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현실을 경고하기 위해 무료 사진전 ‘숲과 사람들 그리고 사막화’를 열었다.이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표본이 발견되면 턱의 진화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사실들이 많이 나올 것이다. 이는 고생
물
학이나 어류 진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것이다. 인간도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턱의 형태가 서서히 변해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1000년이 지난 뒤 패스트푸드를 즐겨 먹은 인류의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크다. 앞으로는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도 자동차에 쓰일 수 있다. 요아히미 박사도 “생
물
원료로 플라스틱의 원료를 만드는 기술과 같은 미래의 가능성을 항상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군살을 쫙 뺀 친환경적인 자동차의 미래가 기대된다. [벨기에 앤트워프의 공장에서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