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좀처럼 색안경을 벗지 못한다. 동성끼리 어깨 동무하거나 손잡고 다니는 데 익숙한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배낭여행을 떠날 때 듣는 얘기가 “동성애자로 오해받으니까 외국에 나가서는 그러지 말라”는 말이다.일부 학부모들이 ‘인생은 아름다워’에 민감하게 반응한 배경에는 아이들이 드라마를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졸업한 후, 조금 더 넓어진 시야로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
는 전세계 핵융합 연구의 중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플라스마 관련 연구자의 탄생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과학기술에 대한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발전은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2040년 상용화를 목표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우리나라
는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건설한 연구용 핵융합로 KSTAR를 통해 중수소 핵융합 반응에 성공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프로젝트를 통해 국제적으로도 활발한 연구를 펼치고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공로를 인정받아 모혜정 교수는 2005년 아모레 퍼시픽 여성과학자상을 받았다. 현재
우리나라
의 핵심 과학기술인 반도체 기술이 미래 산업을 주도할 것을 50년 전에 이미 간파한 선견지명이 놀라울 따름이다.그 외에도 모혜정 교수는 많은 학문적 저술활동을 펼쳤으며,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터보제트와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미국이, 로켓과 스크램제트 복합 엔진은 일본과
우리나라
등이 각각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20년 후 성능 시험을 마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미국 일본 경쟁 치열, 한국도 나서스크램제트 엔진 연구가 가장 앞서 있는 곳은 역시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뚝 선 세종봉 아래로 세종과학기지가 보이기 시작했다. 눈물이 저절로 고였다.
우리나라
는 세종과학기지를 23년간 운영하면서 다른 나라가 제작한 지도를 사용했다. 미국, 독일, 영국 같은 나라에서는 남극 지도를 만들고 곳곳의 지형지물에 자기나라 말로 이름을 붙여왔다. 자신들이 활동하는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수공학연구센터(ERC)로 지정했다. 센터 이름은 ‘핵융합로공학 선행연구센터’.
우리나라
가 실험장비와 기초 연구 모두에서 진정한 기반을 갖춘 것이다.핵융합과 플라스마 양쪽 인재 양성“저희 연구실은 ‘방목형’이에요. 무척 자유스럽죠. 제가 편한 걸 좋아하다 보니 학생들에게 일일이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융합학문을 수행하기에 유리한 곳이라고 강조했다. 유 박사와의 인터뷰가 끝나갈즈음,
우리나라
의 연구자가 언제쯤 노벨과학상을 받을 수 있을지 물었다. 유 박사는 2009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이스라엘의 여성과학자 아다 요나스의 말로 대답을 대신했다. 요나스 박사는 “노벨상을 목표로 삼지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영국의 교육 프로그램영국은 만 5세에 초등학교 1학년을 시작한다. 만 7세에 입학하는
우리나라
보다 2년이 빠른 셈이다. 초등과정 6년을 마치면 11세에 중등학교로 진학한다. 7학년에서 11학년까지 5년 과정을 마치면 진로에 따라 길이 달라진다. 대학으로 진학할 학생은 2년간의 대학 예비과정을 ... ...
수학문화 확산에 수학체험전이 최고예요!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또 수학문화 확산과 수학대중화 운동의 필요성을 논의했다.
우리나라
에서 수학체험전은 현직 수학교사들이 주축이 돼 열리고 있다. 1999년 전국수학교사모임의 교사들이 일본의 수학교구를 가지고 수학체험전을 연 것을 시작으로, 2000년에 들어서 크고 작은 체험전이 지역마다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