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실험동물 희생은 그만, 이제는 ‘장기 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실패한 당뇨병 신약 후보물질 TAK-875를 장기 칩에 주입했다. 그 결과 동물실험보다 사람의 장기 칩이 간 독성 지표물질 생성 결과에서 임상시험과 더욱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논문 제1저자인 장경진 에뮬레이트 부사장은 “장기 칩 기술은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고, 동물실험도 대체할 수 있을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생후 28일 된 쥐를 생후 41일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알코올에 노출시켰다. 그리고 사람으로 치면 성인기에 해당하는 생후 92~98일이 지났을 때 쥐의 뇌에서 편도를 추출한 뒤,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어야 하는데, 일본에는 고추로 만든 발효식품이 없다”고 덧붙였다.그렇다면 조선 사람들도 고추장 떡볶이를 먹었을까. 일단 조선 왕실에서 고추장을 먹었다는 기록은 여럿 남아있다. 태조 이성계가 전북 순창에 방문했을 때 고추장을 맛있게 먹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며, 조선 초기 음식 ... ...
- 우리 크리스마스에는 이별해...굿바이, 초록페트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잘 버텨 왔지만, 더는 안 될 것 같아. 그래, 알아. 너는 정말 최고였어. 하지만 세상 사람들이 우리를 인정하지 않잖아. 이젠 그만 안녕….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초록색 페트병에 안녕을 고하자. 12월 25일부터 색깔이 있는 페트병 사용이 법으로 금지된다. ‘페트’는 ‘폴리에틸렌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거쳐 와이파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방문지, 그리고 비밀번호까지 개인 정보들이 홍수처럼 밀려왔다. 단 20분 만에 벌어진 일이었다. 통신 기술에는 항상 공격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 ...
- 번식을 위한 최선의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새로, 새우깡을 자주 먹다 보면 점점 바다에서 먹이 활동을 하지 않으려 할 거예요. 결국 사람의 생활권으로 들어오게 되고, 집비둘기처럼 배설물 등의 문제를 일으키면 유해종으로 지정될 수도 있지요. 괭이갈매기가 바다에서 건강한 먹이를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식물도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어떻게 하나요? 아마 자리에서 일어나 물이 있는 곳까지 걸어갈 거예요. 하지만 식물은 사람과 같은 동물처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요. 뿌리가 한 곳에 고정되어 있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식물이 아예 움직이지 않는 건 아니에요. 자신의 생존에 꼭 필요한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초소수성을 띠는 벽에 오줌이 닿으면 오줌이 고무공처럼 튕겨서 노상방뇨를 한 사람의 신발을 적시거든요. 이런 일을 겪으면 다시는 이곳에서 노상방뇨를 하지 않겠죠? 모기도 초소수성을 이용해요. 2015년,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모기의 머리와 날개가 초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빗속에서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을 다룬 논문이 실렸다. doi: 10.1016/S0140-6736(07)60918-0 혈액이 무색인 척추동물 사람뿐만 아니라 개, 고양이, 소 등 대부분의 척추동물의 피도 빨갛다. 그런데 동물 중에는 다른 색의 피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한호재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단백질의 구조에 따라 동물의 피 색깔은 다양하게 ... ...
- [세상을 바꾼 원소] 금...세상을 이끌어온 노란빛, 인류의 영원한 보물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를 처음으로 합성한 사람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다. 그는 1857년 염화금 용액을 인으로 환원시키는 반응을 통해 최초로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여러 학자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빛의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