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치가의 과학의식 선진국 진입의 성패를 좌우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기술발전에 비햐여 매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정과 부를 모두 올바르게
인식
한 과학의식이 정치가의 의식구조속에 자리하면서 그들이 국가 경제 사회 문화 안전을 이끌어가면 우리도 머지않은 장래에 선진의 대열 속에서 자신을 찾게 되리라 기대해 본다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따라서 우수한 인적자원만 확보된다면 약학의 눈부신 발전은 약속될 것이 분명하다.이를
인식
함인지 최근 약학대학 졸업생에 대한 요구가 약학영역을 비롯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급격하게 늘고 있다. 단지 현재로서는 그 수요를 공급이 따를 수 없는 것이 안타깝다.현재 약학대학을 졸업한 학생들이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관심을 가질 정도로 연구 개발된 분야는 전문가 시스팀, 자연어 시스팀, 그리고 시각
인식
등을 들 수 있다. 인공지능의 상업성 유무를 결론짓기 이전에 상업적으로 성공한 몇가지 인공지능시스팀을 살펴 보기로 하자.상업적 성공사례는 소수어느 한 시스팀이 인공지능 시스팀이냐 아니냐를 가름하는 ... ...
하이테크 예술 홀로그래피, 어떻게 응용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홀로그래피가 범람하여 허상과 실상을 촉감에 의하지 않고는 구별못하게 될 때 우리들의
인식
에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생긴다"고말하며 "심리학실험에서 상하가 거꾸로 보이는 안경을 계속 쓰고 있게하면 처음엔 큰 혼란이 오지만 점차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종합적익 과학적이고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다만 뒤늦게나마 김치에 대해 새롭게
인식
한 보건 사회부 산하 국립보건원 농수산물유통공사의 김치연구팀과 한국 식품공업협회 산하 식품연구소에 연구팀이 생겨 김치의 발효를 어느 시점에서 정지·지연시켜 상온에서 김치의 품질을 장기간 ... ...
제주지역 관광예약시스팀 개통 관광의 온라인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국민들이라는 점에서 공중VAN의 성격을 갖고 있다.국민들의 컴퓨터이용이 바로 컴퓨터
인식
의 기본이고 이를 통해 한나라의 정보통신산업이 굳게 자리잡을 수 있음을 고려해 볼 때 많은 사람이 이용할수 있는 공중VAN의 첫 시도는 앞으로 국내정보통신산업발전의 밑거름이 될것이다.이러한 중요성을 ... ...
컴퓨터교육 89년부터 교과과정에 컴퓨터 문맹 벗어날 수 있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교육효과에 대해 과소평가하게 되거나 나아가서는 컴퓨터에 대한
인식
을 잘못 형성할 수도 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선현장의 교사들이 학습에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할 수 있는 저작도구(Authorizing Tool)의 개발이 시급하다. 저작도구란 교사가 컴퓨터 ... ...
AIDS, 드디어 한국인끼리 인삼찻집 종원까지도 검진실시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잘 돼있지 않다는 것이다.최근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실시한 '한국인의 AIDS에 대한
인식
및 이해'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 2명중 1명꼴로 'AIDS 환자나 감염자와 수영장에서 함께 수영해도 감염'된다고 알고 있으며, 5명중 1명이 이들이 만진 돈이나 손잡이를 만져도 감염되는 것으로 ... ...
최고의 시설과 교수진, 분위기는 가족적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있으며 취직걱정은 별로 하지 않는 곳.요즘의 농업은 벼농사와 과수원예 축산 정도로
인식
되던 과거의 그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첨단과학중의 첨단이라 할 유전공학도 실은 농업의 한 분야일 뿐 아니라 컴퓨터라든가 전자현미경이 농업연구의필수장비가 된지도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또 ... ...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고름은 바로 이 백혈구와 세균이 싸운 잔해이다. 임파구는 침입해온 세균을 항원으로
인식
하고 그에 대한 항체를 형성해 세균을 파괴해 버린다. 우리몸 어느 조직에나 분포하고 있는 큰 아메바모양의 대식세포는 세균은 물론 체내의 늙은 세포를 포식, 소화한다.이처럼 면역기구와 방비기구가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