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최도훈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라고 생각하고 중간에 멈춰버렸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중간에 연구를 잘 하고 있는지
확인
하는 건 굉장히 힘든 것 같아요.연구 주제를 정하는 기준은 뭔가요?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나에게 재미있는지’를 우선으로 생각해요. 예전에 어떤 식으로 연구하고 싶은지를 선배와 이야기한 적이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예상하기는 무척 어렵기 때문에, 모든 경우를 일일이
확인
해 보면서 최적의 모델을 찾아야 한다. 세부적으로도 인간의 직관과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은 구조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신경망을 설계하더라도, 연구자의 노하우에 따라 완전히 성능이 다른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있다가 근처에 접근하는 동물을 습격한다. 물가 근처로 동물이 접근하고 있는지
확인
하기 위해서는 머리를 수면 위로 내밀어야 한다. 이때 머리가 위로 볼록하다면 사냥감으로부터 금방 들통이 날 것이다. 그래서 신악어류는 들키지 않기 위해 최대한 머리를 납작하게 만들었다.매복을 이용한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내 몸속 장기에 이상이 있는지 알고 싶다고 해보자. 그러려면 칼로 피부를 자르고 직접
확인
해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런데 이것은 몸에 상처를 내야 하는 ‘파괴적’인 방식이다. 만약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비파괴적’으로 우리 몸 안의 상태를 알 수 있다면 어떨까? 그 해답은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미엘린’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됐다. 미엘린은 뇌 신경세포를 둘러싼 백색 지방질 물질로, 신경세포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보호해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은 “뇌인지 발달 장애가 뇌백질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화성의 생명체 연구다. 화성 토양에서 광물을 채취해 원소를 분석하고 유기물이 있는지
확인
한다. 2015년 3월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질소를 발견해 생명체가 살았을 것이라는 기대를 더욱 높였다.다음은 화성의 상세한 지형도를 그리는 것이다. 현재는 ‘마스 오디세이’, ‘마스 익스프레스’,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지역 별로 재분류해 700명 정도의 유해를 추렸다. 이 유해로부터 핵 DNA를 추출해 신원을
확인
하기 시작했다. 최신 기술이었다. 이렇게 해서, 작년 말까지 151구의 유해가 가족 품을 찾았다.“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최종 결과가 나오면 상사에게 보고하고 유족에게 돌려드려요. 그러면 유족 분들이 이런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되거든요.이차연 기계공학의 매력은 뭐라고 생각하세요?김호영 공부한 것을 바로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들자면 소금쟁이에 대해 탐구한 결과를 바로 로봇이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잖아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두 가지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점도 큰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생각지도 못했다”고 말했습니다.하지만 지금이라도 이 목간이 구구단표라는 사실이
확인
된 게 참 다행입니다.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구구단과 관련된 유물이 많이 발견됐습니다. 대부분 8세기 이후의 것이었지요. 이번에 발견된 구구단표는 이보다 2세기나 일찍 만들어진 것이랍니다. 이 팀장은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 결과 겨우살이가 사라진 숲에서는 생물종 다양성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사실을
확인
했어요.먼저 겨우살이를 먹이나 집으로 삼던 새들이 새로운 먹이와 은신처를 찾아 다른 곳으로 떠나 버렸어요. 겨우살이에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도 겨울철을 제대로 나기 어려워졌지요. 또 땅에 떨어진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