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가 만난 우리의 빛 전문가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빠른 신호를 관측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이었다. 진공 중 빛 속도의 3백10배였던 종전의
기록
보다 무려 20배 빠른 초고속 빛을 만드는데 성공한 셈이다.또한 같은 실험 장치로 빛을 약 6백배 느리게 가게 만든 실험도 성공했다고 들뜬 목소리로 전화해줬다. 이 내용의 기사를 준비하던 와중에 받은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촬영이 시작된다.점상 촬영은 천체사진 촬영의 가장 기본이면서 순간적인 현상을
기록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대개의 경우 15초보다 더 오랜 시간 노출을 주면, 지구 자전 때문에 생기는 별의 흐름이 찍힐 것이다. 이렇게 찍으면 일주 촬영이 된다. 반면 흐름이 나타나지 않을 만큼 비교적 짧은 시간을 ... ...
봄하늘 뒤덮은 노란 흙먼지 황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우리나라에서는 서기 174년 신라 아달라왕 때의
기록
이 가장 오래됐다. 당시
기록
에는‘흙이 비처럼 내렸다’는 뜻인 우토(雨土)라는 표현으로 황사현상을 표현했다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참배객들이 주화를 넣으면 약간의 성수를 받을 수 있는 장치를 갖춰놓고 운영했다는
기록
이 남아있다. 최초의 자판기는 성수자판기인 셈이다.자판기의 핵심은 자동으로 주화를 처리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헤론이 발명한 성수자판기는 동전을 어떻게 자동으로 처리해서 동작되는 것일까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관측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은 식이 일어난 시간과, 토성과 달이 떨어진 간격을 정확히
기록
한다.이렇게 관측된 데이터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들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우주공간에서 달의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는데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는 이런 접식을 관측하기 위해서 많은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해 여러개의 고무복합체를 조합하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곧 세계
기록
은 네덜란드의 람스포(높이 8.2m)로 바뀔 전망이다. 국내 기술로 1988년에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고무보가 최초로 설치됐는데, 현재 50여곳에 건설됐거나 건설중에 있다.하천유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일은 ... ...
통합수자원관리 오케스트라 지휘자 김승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작성해 인터넷에 올린다. 누가 어떤 결과를 얻기 위해 몇시간을 연구했다는 것을
기록
해 보고하는 것이다. 다른 연구분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모습이다.이와 같은 원칙을 고수하는 데는 이유가 있었다. 김단장은 “1천명이 넘는 연구진이 비전을 공유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라며,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지구의 망원경에 도달한다. 때문에 이 빛은 수십억년을 거슬러 올라간 당시 우주팽창의
기록
을 담고 있다. 먼 거리에 있는 초신성을 여럿 관측하면 우주팽창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알아낼 수 있다.4년 전인 1998년 미국 워싱턴의 한 모임에서 로렌스 버클리연구소의 연구팀이 매우 거리가 먼 초신성을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바이러스다. 한국은 약 8%의 인구가 만성 감염자로 중국과 함께 세계 최고 만성 감염율을
기록
하고 있다. 다행히 백신의 도입으로 20세 미만에서는 만성 감염자가 5% 이하로 감소하는 추세여서 불명예를 하루빨리 벗을 날을 기대한다.C형 간염바이러스(RNA 바이러스)1989년에 발견된 간염 바이러스로 B형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졸리오와 결혼했고, 이들 부부 역시 1935년 노벨상을 수상함으로써 2대 부부 수상이라는
기록
을 남겼다. 그렇지만 마리는 그러한 사실을 알지 못한 채 1934년 7월 4일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마리는 노벨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과학자이자 소르본대 최초의 여성교수였지만 프랑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