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반짝반짝 눈부시게 빛나는 하얀 꽃을 본 적 있니? 오늘은 겨울에 피는 꽃을 보여 주려고 해. 추운 겨울에 무슨 꽃 타령이냐고? 물론 따뜻한 봄에 피는 꽃이 이렇게 추운 겨울에 피었다는 소리는 아니야. 그런데 겨울에도 아름다운 꽃이 나무 위에서 피어난단다. 무슨 소리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고?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친구들은 자신의 얼굴에 얼마만큼 만족하나요? 혹시 얼굴이 너무 둥글다거나 턱이 나왔거나, 얼굴이 조금만 갸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있나요? 최근에는 턱이 뾰족하고 갸름한 얼굴형이 인기예요. TV에 나오는 스타들도 대부분 얼굴이 갸름하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 ...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손 위에 살포시 앉은 새 한 마리가 보인다. 혹시 날아갈까 봐 살금살금 다가간다. 빛깔에 현혹돼 저절로 손이 먼저 나간다. 새는 움직이지 않는다. 슬쩍 날개를 만져 본다. 어라? 가짜다!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너! 종이였다. 만지면 퍼드덕하고 날아가 버릴 것 같았는데, 깃털이 모두 종이로 된 새 ... ...
- Intro 수학은 안다 가족끼리 왜이래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민족 대명절인 설날이면 평소에는 잘 만나지 않았던 친척들까지 모두 한 자리에 모인다. 오랜만에 만나 반가운 얼굴로 서로를 반기고 명절 내내 화목하게 보내지만, 때로는 사소한 의견 차이나 형제자매 사이의 미묘한 감정싸움으로 얼굴을 붉히는 일이 있다. 그런데 무심코 하는 이런 행동도 수 ...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한 아파트가 불길에 휩싸여 있다. 119에 전화하려고 휴대전화를 꺼내려는 순간 사촌도 이 아파트에 살고 있다는 사실이 떠올랐다. 아파트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화를 하는데, 불길에 갇혀 아파트 현관을 나오지 못하고 있는 사촌을 발견했다. 목숨을 걸고 사촌을 도울 것인가, 아니면 발만 동동 ... ...
- [생활]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 수업이 살아 있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선생님 대신 학생들이 칠판 앞에 섰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노래와 율동, 소림사 권법에 기합까지 넣는다. 문학이나 음악, 체육 시간이 아니다.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의 수학 시간이다. 그런데 선생님이 아니라 학생이 수업을 이끌어 가고 있었다. 학생이 수업을 받는 게 아니라 수업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일본은 우리의 이웃나라로 가까워서 여행지로도 인기를 많이 끌고 있어요. 그런데 일본의 전통 문화 곳곳에 수학이 숨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동양대 이만근 교수와 함께 일본의 전통 수학 문제인 산가쿠를 찾아 떠나 봐요~조선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은둔의 나라일 수밖에 없었지만, 일본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2015년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번째 방문지는 서울 도산공원 사거리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지난해 문을 연 현대 모터스튜디오는 자동차에 담긴 문화와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 체험관이다. 마치 미술관처럼 자동차가 전시돼 있고, 자동차 문화 큐레이터의 ...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그은 듯한 길이 1cm의 미세한 선이 있었는데, 마치 톱니 끝처럼 지그재그 휘어 있었다(위 사진). 또 방향이 바뀔 때도 도구를 뗀 흔적이 없었다. 연구팀은 “우연히 이런 흔적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재현을 해봤는데 제작이 ... ...
- [과학뉴스] 은하의 자기장초상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간물질은 은하 자기장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계 중심부(은하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는데,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물질이 점점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