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녕
평온
안정
보장
무사
안보
안심
d라이브러리
"
안전
"(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현재 평안하게 살 수 있는 것은 앞으로도 수백만년 동안은
안전
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점 때문이다.물론 우리가 소행성들을 지구에 재난을 초래할 대상으로만 여길 필요는 없다.이들 중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가까이 다가오기 때문에 (1백만 마일 정도로) 우리가 ... ...
유전공학식품, 안심하고 먹을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러나 미국 산업생물공학협회의 알란골드해머박사는 "유전공학을 응용해 만든 식품이
안전
하지 않다고 단언할 수 있는 사람도 없다"고 막바로 반박하고 있다.그렇다면 누구의 말이 옳은 것일까. 현 시점에서는 둘중 어떤 사람의 손도 들어줄 수 없다. 이 판정에 사활을 건 유전공학업계에서는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더 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연료도 크게 절감된다. 이러한 경제성보다 더 중요한
안전
성을 보장받으려면 기계적인 강도를 높여야 한다. 또 항공기 엔진에 전가되는 엄청난 고열에 견디려면 충분한 내열성이 확보돼야 한다. 그리고 부식에도 강해 가급적 '장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런 ... ...
유전자 조작된 동물의 젖에서 단백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래서 헤르만박사팀은 소의 난관을 흉내낸 실험실의 배지 안에서 수정란이 며칠간
안전
하게 자라게 하는 기술을 개발해냈다.미국의 과학자들은 산양에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로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 튜프트대학 연구팀은 29마리의 산양을 대상으로 특정 단백질을 생산하게 하는 유전자를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니켈-카드뮴전지나 은-아연전지의 개발이 요구되며, 방전시에 발생하는 수소가스로부터
안전
도가 확보되어야 한다.해수는 이에 녹아있는 염분이온때문에 담수보다 약4천배의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공기중에서는 전기선이나 터미널단자가 노출되어도 아무런 지장이 없지만, 해수중에서는 미세한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없는 과제다. 과기처는 91년말까지 폐기물처리장건설 희망지역을 신청받아 지질구조상의
안전
도, 사회문화적 요인을 종합평가한 뒤 최종건설지를 확정하기로 했다. 11월말 현재 신청지 44군데 중 7곳을 후보로 압축했다.구호에 그친 기초과학 육성기초과학의 육성없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기대할 수 ... ...
플라스틱이 골칫거리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특성 때문에 폐품처리시에는 골칫거리다. 도요타 등 자동차메이커들은 이 플라스틱을
안전
하게 소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에 착수했다.그러면 차를 한대 폐차시키면 재생자원은 얼만큼 나올까.배터리속에는 구리(銅)가 있다. 이 구리는 그대로 쓸 수 있다. 정도에 따라서는 배터리 자체를 충전해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아이디어는 좋았지만 실제로 만드는 데는 몇가지 문제가 생겼다. 배기가스 문제나, 연료
안전
문제 차의 견고성 등이 지적됐다. 그 중에서도 구조상의 견고성이 제일 큰 문제로 부각됐다. 크라이슬러사의 설계담당인 닐 윌링에 따르면 "결합된 차는, 결합되기 전의 각각의 차량들 만큼 구조적으로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져야하는 철도청의 입장에서 보면 어쩌면 당연한 반응이라는 생각도 든다. '승객의
안전
'이라는 대의명분 앞에서 국산화율은 어쩔수 없이 20%나 곤두박질치는 수모를 당했다.이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자의 얘기를 들어 보자. 한국기계연구소 송달호 박사는 안타까운 얘기라고 전제한 후 다음과 같이 ... ...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보장받아야 한다. 우리가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자동경보기를 설치하듯이 건물도
안전
하게 유지하려면 센서를 통해 끊임없이 감시를 해야 한다. 다시 말해 건물의 변화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 건물의 피로도 등을 늘 점검하는 일이 필수적이다.곧 완공될 예정인 미국 버몬트대학의 의학실험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