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떨었다. 손을 뻗으면 고개를 돌리고 부끄러운 듯 산호 사이로 숨어버렸다. 중·고교생 7명으로 이뤄진 체험단은 축에 도착한 다음날부터 기지 근처 얕은 바다에서 매일 스노클링을 하며 열대바다의 산호초를 만끽했다. 산호초는 바다의 밭남태평양 바다는 따뜻했다. 캠프 기간 동안 수온이 30℃까지 ... ...
- 앵두 VS 버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되면 하얀 벚꽃을 잔뜩 피웠다가 눈 내리듯 꽃잎을 흩날리는 봄꽃나무의 대명사지요. 5~7월이 되면 앵두와 비슷하게 생긴 버찌가 열린답니다. 버찌는 앵두와 크기와 모양이 비슷하고 안에는 크고 단단한 씨앗이 들어 있어요. 하지만 버찌는 익으면서 색깔이 점점 검붉어지지요. 앵두나 체리보다 맛이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의미는 50ns(=$\frac{1}{20}$MHz)마다 정보를 바꿔서 실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50ns마다 7.5bit의 정보를 실어서 보낸다면 7.5(bit)÷50(ns)=$\frac{75}{10}$(bit)×$\frac{1}{50}$×10$^{9}$($\frac{1}{sec}$)=15×10$^{7}$( ...
- PART2. 핵융합의 원리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큼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나온다.레이저 핵융합(관성가둠 핵융함)은 레이저로 초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핵을 융합시킨다.자기가둠 핵융합은 두 가지 대표적인 ... .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우리는 아직 경제적인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이 문제일까. 인류가 만난 가장 어려운 상대인 ‘자연’과, 그 자연이 무기처럼 휘두르는 ‘난류 ... .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필래를 떨어뜨렸어요. 필래는 천천히 걸어가는 속도로 7시간 동안 날아갔지요. 아…, 그 7시간이 지난 10년보다 길었어요. 사실 필래의 분사장치가 고장난 걸 알고 있었지만, 달리 방법이 없었어요. 작살 하나만 믿고 험난한 길을 보낼 수밖에 없었죠. 13일 새벽 1시, 필래가 추리 표면에 쏜 작살이 ... ...
- [과학뉴스] 성인을 위한 19금 과학콘서트, SNL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구하기 위해서인데….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과학콘서트가 찾아온다. 12월 27일 저녁 7시 30분부터 서대문구 KT&G 상상유니브에서 열리는 과학콘서트, SNL(Science Night Live)이다. 같은 이름의 개그프로그램처럼 성인용이다. SNL은 과학창의재단과 영국문화원에서 개최한 과학토크대회 ‘페임랩(FameLab)’의 20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구성성분의 대부분은 물입니다. 90%정도 되고요, 간에서 만들어지는 혈장단백질이 7~8%, 그밖에 지방, 무기염류 등이 소량 포함돼있습니다.즉 피를 보지 않고 혈장만 봤다는 것은 크게 피해를 입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같은 송혜교 단발을 해도 다른 사람들은 정말 안 어울렸을 텐데 우유 양은 썩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임신기간이 22개월이다. 한 번에 1마리의 새끼만 출산하며, 암컷은 평생 7마리 정도 출산할 수 있다. 포유류에서는 큰 종일수록 생식을 늦게 하며, 에너지도 많이 든다. 이 같은 관계는 ‘렌쉬의 법칙’으로 설명한다. 수컷이 암컷보다 클수록 해당 종 크기가 크고, 암컷이 더 클수록 작다는 법칙이다. ... ...
- [life & tech] 화장품 바르다 나노 중독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나노제품은 2006년 212종에서 2013년 1628종으로 최근 7년 사이 약 7.7배 증가했다. 화장품만 보더라도 2020년에는 세계적으로 약 105t이 유통될 전망이다.문제는 나노입자가 기존 화학물질에 비해 인체의 미세한 장벽을 통과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점이다.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