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거예요.인구도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2016년 기준 세계 인구는 73억 명인데, 2050년까지 90억 명에 다 다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요. 이렇게 인구가 늘어나면 그만큼 필요한 물의 양도 급격히 증가해요.우리나라도 심각한 물 스트레스 국가 중 하나예요. 인구 밀도가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안녕하세요. KAIST에서 그래프이론을 연구하고 있는 최일규입니다. 저는 그래프이론 중에서도 ‘컬러링’에 관심이 있어요. 그래프의 꼭짓점과 변을 규칙에 맞게 분할하는 것이죠.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문제가 4색 정리예요. 서로 연결된 꼭짓점은 같은 색으로 칠하지 않으려면 최소 몇 가지 색 ... ...
- 치킨은 행복이다 냠냠지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쓰입니다.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값을 ‘빅맥지수’라고 합니다. 세계 곳곳의 맥도날드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햄버거 빅맥은 레시피가 똑같고, 크기와 값이 비슷해요. 그래서 영국의 경제잡지 ‘이코노미스트’는 1986년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비교해 적정한 환율을 찾는 데 참고할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늦게 내려가게 된 사람들이 투덜거렸지만, 어쩔 수 없었다. 신세계 호에서는 언제나 안전이 우선이었다.어디선가 보안요원 몇 명이 튀어나오더니 엘리베이터 앞에 자리를 잡고 신분증을 하나씩 확인하기 시작했다. 마고는 이제 높은 곳에 자리잡은 채 가만히 떠 있었다 ... ...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작동을 멈추는 킬 스위치였던 셈이다. 곧 이를 보완한 워너크라이 2.0이 배포됐지만, 이미 세계적으로 존재가 알려진 뒤라 전파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김 연구원은 “만약 실수로 킬 스위치를 만든 것이라면 정말 아마추어가 뒷걸음 치다 쥐 잡은 격이고, 일부러 넣었다면 진짜 목적에 대해 ... ...
- [Issue] 나폴레옹이 6월에 전쟁을 떠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계사를 완성했다. 만약 그때 전쟁의 시기를 6월로 잡지 않았더라면 지금과는 많이 다른 세계사를 공부하고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장군이자 대통령이었던 드와이트 아이젠 하워의 말로 글을 맺는다.“훌륭한 장군은 전략을 배우고, 유능한 장군은 병참학을 공부한다. 하지만 전쟁에서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염분 농도는 3.5%랍니다.반면 우리 몸은 염분의 농도를 0.9%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어요. 그래서 바닷물을 마시면 염분을 몸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마신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변으로 ... ...
- 실리콘밸리&스탠퍼드대 프리미엄 미래 인재 캠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리콘밸리는 미국 첨단 기술의 요람으로 구글, 애플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이 이곳에 있습니다. 이런 기업에 우수한 인재를 제공하는 명문 대학인 스탠퍼드대학교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이하 UC 버클리)도 가까이 있지요.실리콘밸리의 대표 IT기업에서 근무하는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등장하고 나서 전쟁이 사라진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의 총성이 끊이지 않는다. 미래에도 없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 어차피 막을 수 없다면 늘 실제 상황처럼 예측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뉴질랜드의 물리학자이자 군사이론가인 숀 고울리는 무질서해 보이는 현대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핵무기는 핵분열이나 핵융합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에너지를 이용한 무기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중에 인류 최초의 핵무기 개발에 성공했다. 여기에는 닐스 보어, 엔리코 페르미, 존 폰 노이만,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스타니스와프 울람과 같은 당대 최고의 수학자와 과학자가 참여했다.이후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