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하는 컴퓨터의 피서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견디고 튼튼한 공냉식 엔진이 한몫을 한 것이다. 오리지날 폭스바겐 비틀과 포르쉐는 20
세기
를 대표하는 공냉주의자들이었다. 마쓰다 스포차카의 로터리 엔진은 오늘날까지도 공냉의 핏줄을 자랑스러워하고 있다.● ● 그러나 공냉의 가슴 뜨거워지는 위대한 유산을 물려받았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 ...
쇠라의 작품과 컬러 인쇄의 공통점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인쇄물이나 컴퓨터 모니터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색은 어떻게 구현된 것일까. 19
세기
점묘법을 만들어낸 프랑스 화가, 쇠라로부터 그 답을 찾아보자.모험이와 슬기는 모처럼 미술관을 찾았다. 사실은 19
세기
프랑스의 대표적인 화가 쇠라와 모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라며 엄마가 재촉하셨기 ... ...
만물의 원리를 푸는 열쇠 수학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수학사 가볍게 읽기’가있다.‘문명과 수학’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에서 21
세기
디지털 혁명에 이르기까지 문명을 뒷받침하고 있는 수학의 역할을 강조한 책이다. 수학은 고대로부터 국가를 운영하는 기본적인 원리로 중요시됐다. 국가의 재정을 확보하는 세금징수와 경제를 관리하는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어려움이 있었다. 천왕성은 태양에서의 거리가 토성의 2배에 이르기 때문에 태양빛의
세기
가 토성에서의 1/4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카메라의 노출시간은 4배가 돼야 했다. 그러나 시속 7만2천km로 움직이는 보이저가 오래 노출하면서 흔들리지 않는 영상을 찍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야말로 ... ...
1. 첨단기술로 가는 다리 소재성형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제품이 한국의 대표로 떠오르게 된데는 소재성형기술이라는 숨은 공로자가 있었다. 21
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단은 차세대 소재성형기술을 개발해 국내산업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시킬 계획이다.“차세대 소재성형기술은 IT(정보통신기술), BT(생명공학기술), NT(나노기술) 등에 비하면 첨단기술이 ... ...
브로노프스키 '인간 등정의 발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가장 중요한 특성은 과학에 있으며, 따라서 과학에 대한 자부심에 기초하지 않고서는 20
세기
에 대한 그 어떤 믿음도 존재할 수 없다고 역설한다.브로노프스키는 과학이 진정으로 추구해야 하는 것은 “지상의 부를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상상력을 계승하는 것이다. 도덕적 상상력 없이는 ... ...
전문가와 함께 한 미래예측 2010년의 생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21
세기
의 첫 10년이 지난 2010년 세상은 어떻게 변해있을까. 지령 200호를 기념해 과학동아 기자들이 각 분야 전문가들을 만나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일상 생활이 어떻게 변했을지 예측해봤다. 과학기술이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선사할지 2010년 12월의 일주일을 함께 지내며 알아보자. ...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부품이 작아지고 다기능 부품이 집적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현재 삼성전기(주)는 21
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인 차세대소재성형기술개발사업의 주관기업으로 ‘차세대 다기능 복합모듈 제조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LTCC 기판을 이용해 휴대폰에 사용될 듀얼모드 ‘안테나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0
세기
인류 최대의 난적이었던 질병 암. 21
세기
에는 끔찍한 질병으로 악명을 계속 유지하기는 힘들 듯 하다. 게놈연구를 통해 암을 물리칠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놈연구자들이 암을 정복해나갈 전략을 살펴보자.인간의 몸은 ‘세포’라는 생명의 기본 단위로 이뤄져 있다. 우리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우리 시대는 외계생명체를 처음 발견한 사건으로 후대에 기억될지도 모른다. 과연 21
세기
에는 이같은 사건이 가능할까.별에 남겨진 행성의 흔적을 찾아라질량도 아주 작고, 스스로 빛을 내지도 못하는 행성의 존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