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장 눈에 띄는 별들은 중앙에 일렬로 나란히 위치한 세개의 2등성이다. 신화 속에
등장
하는 사냥꾼 오리온의 허리띠에 박힌 세개의 보석처럼 빛난다. 세 별은 동양에서는 28수 중 삼(參)수의 일부에 해당한다. 또 흔히 삼태성(三太星)이라고 알려져 있다. 삼태성은 다시 밝은 별들로 이뤄진 커다란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들려오는 소식을 종합하면 2003년은 세계 최초의 복제인간이
등장
한 해로 인류의 역사에 기록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탄생 가능성 상당히 높다이번에 복제인간 탄생을 공언한 안티노리 박사와 클로나이드부터 살펴보자. 안티노리 박사는 2001년 1월 미국 켄터키대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득을 능가하고 있다고 결론짓고 있다.본질적으로 비윤리적인 행위 복제인간의
등장
은 필연적으로 우생학으로 향한 문을 연다. 일부 사람이 다른 사람을 마치 인격이 아닌 물체인 것처럼 조작하려는 유혹에 빠지면서 인간 존엄성을 비롯한 중요한 사회가치를 파괴할 것이란 얘기다.사실 우생학적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울리는 종소리를 지겹게 느낀 어느 종치기가 발명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최초로
등장
한 음악 시계는 원통에 꽂힌 여러개의 핀이 종을 치는 망치에 연결된 톱니바퀴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따라서 핀의 각도와 위치를 조절하면 종소리의 리듬을 바꿀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제다이의 눈부신 모습에 반하고 말았다.그날 밤 모험이는 꿈에서 스타워즈 에피소드에
등장
하는 제다이로 변신해 있었다. 그에게 주어진 임무는 세행성을 다니면서 우주전쟁을 일으키려는 세력을 차단하는 것. 영화와는 달리 제다이가 갖는 무기는 광선검이 아니라 악기로 만든 음파건이었다.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해도 과언이 아니다.무게 따라 진공을 나는 시간 달라져질량분석 기술은 1910년경에
등장
해 1960년대까지 분자량 10kDa(1만Da) 이하 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해 물질의 구조를 확인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됐다. 질량분석기의 원리를 최초로 고안한 사람은 영국의 물리학자 톰슨이었다. 그는 1912년 물질을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없다. 그리고 소멸돼도 언젠가 부활해 모든 것을 지배하려고 달려든다. 영화 속에
등장
한 절대 악으로는 제 5원소의 검은 행성, 에어리언 시리즈의 괴물 등을 들 수 있다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보통 붉은빛이 나온다.또한 ‘양 성운’ N30B에도 신화에
등장
하는 헤르메스처럼 조연이
등장
한다. 사진 맨위쪽에 있는 매우 밝은 별이 연기입자를 비추는 플래시처럼 양 성운을 비추고 있다. 헤니즈 S22이라는 이 별은 양 성운에서 단지 25광년 떨어져 있는 초거성이다. 만일 양 성운에서 S22 별을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약 1천3백만년 전의 플라이오세에 지금처럼 발가락이 하나인 플리오히푸스(Pliohippus)가
등장
했으며, 그로부터 1천만년 이상 지난 플라이오세 말기에 마침내 지금의 말과 같은 속인 에쿠우스(Equus)가 북반구에 나타났다.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말은 경주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경주마로 주로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거침없이 얘기한다. 요즘 생물학을 전공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반면, 최근 새롭게
등장
한 생물정보학, 나노바이오 등 첨단 생명공학 분야에는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언젠가 생명공학기술이 본궤도에 오르면 지금의 정보기술혁명처럼 엄청난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이다.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