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넣는 부분은 레이더로 포착하기 쉽기 때문에 전파가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지그재그 모양으로 만든다. 세 전투기 중에서는 F-35 라이트닝Ⅱ가 처음부터 스텔스 기능을 하도록 디자인되었다.레이더를 흡수하는 재료와 페인트!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또 다른 방법은 전파를 흡수하는 재료나 특수 ... ...
-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탐사원들이 가장 먼저 발견한 식물은 식충식물인 네펜테스예요. 주머니 모양의 식물인데, 주머니에 빠진 곤충은 빠져나오지 못한답니다. 블루리버파크에서 가장 신나는 일은 카구를 찾는 일이었어요. 야생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에만 사는데, 400여 마리 밖에는 남아있지 않답니다. 과연 카구를 찾을 ... ...
- 벌도~ 사람도~ 벌벌 떠는 포식자 말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살아요. 대개 벌집은 애벌레 방이 바깥에서 보일 정도로 노출되어 있어요. 그래서 육각형 모양의 방마다 꽃가루와 꿀이 알록달록 채워져 있죠. 하지만 우리는 공처럼 둥글고 바깥에서 안쪽이 잘 보이지 않는 집을 지어요. 대가족일 경우에는 집이 수박보다 크죠. 그 안에는 길쭉한 방이 세로로 겹겹이 ... ...
- 고슴도치 vs 호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방패’처럼 쓴답니다. 적이 오면 몸을 동그랗게 말아서, 적이 접근할 수 없게 밤송이 모양으로 만드는 거예요. 호저호저는 고슴도치와 닮긴 했지만 사실 고슴도치와 전혀 다른 동물이랍니다. 호저는 ‘고슴도치목’이 아닌 ‘쥐목’ 포유류로, 고슴도치보다는 쥐, 다람쥐와 가까워요. 호저의 ...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양 모양을 떠올리기가 쉽지 않지. 이처럼 별자리 대부분은 양자리처럼 별만으로 그 모양을 생각하기가 어렵단다. 옛날 사람들은 별을 잘 기억하려고 몇 개의 별을 묶어서 동물이나 어떤 대상을 연관 지어 별자리를 만들었어. 하지만 요즘은 밤하늘이 밝아 별이나 별자리를 찾기가 매우 어렵지. ...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구석구석 재미있는 그림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어요. 아바타가 알려 주는 급훈부터 똥 모양의 캐릭터 시간표까지 말이에요. 역시 만화가 선생님의 교실다워요. 교실을 보니 옥 선생님의 수업 시간은 또 어떤 만화로 꾸며질까 궁금하더라고요.선생님! 수업시간에도 이렇게 만화를 이용하시나요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죽일 수 있는 강력한 항생물질이 들어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 또 모기는침이 톱니 모양으로 생겨 아프지 않게 사람 피부를 뚫는데, 이걸 연구한 과학자들이 아프지 않은 주사바늘을 개발했지.사람에게 해롭다고 알려진 생물도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는 사실. 이제 알겠지? 지구 생물이 모두 함께 ... ...
- 동그랗게, 더 크게… 내 마음대로 만들기 그림자 아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방법을 알아볼까?섭섭박사님, 오늘 그림자를 이용한 실험도 매우 재밌었어요. 여러 모양의 그림자를 만드는 방법도 알았고, 크기를 조절하는 법도 배울 수 있었죠. 그림자를 이용해 재밌는 사진도 찍어봤어요. 박사님께 선물하려고요.오, 대단한데? 우리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현욱이처럼 ... ...
- 영국 매스투어1탄, 위대한 수학 유산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2년 12호
- 듯한 착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사실 계단은 바닥부터 윗부분까지 일정한 원기둥 모양이래요. 아무리 봐도 거짓말 같아서 직접 확인해 보기로 했지요.계단 바닥에 놓인 원이 문제를 푸는 열쇠였어요. 자가 있다면 지름을 잴 수 있겠지만, 여행하면서 자를 갖고 다니진 않잖아요? 이럴 땐 신발을 이용해 ... ...
- 대선의 수,19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삼각형, 사각형 등에 대응시킨 삼각수, 사각수 등이 있다. ‘삼각수’는 점으로 삼각형 모양을 만들었을 때, 사용된 점의 총 개수를 뜻한다. 또한 한 점을 중심으로 점의 수를 늘리면서 정육각형으로 배열할 때 사용된 점의 개수를 ‘중심육각수’라고 한다. 19는 3번째 중심육각수다. 19가 3번째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