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1 클락스토리 시계들의 반란을 잠재우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항상 정확한 시각을 기록하고 연구하는 미스터 클락.그는 낮에 신문사 기자로 활약하고, 밤에는 인류 평화를 위해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를 연구하는 데 힘쓰고 있다. 그의 연구실에는 온갖 시계들이 째깍거리며 그들의 이야기를 쉼 없이 전한다. 2010년의 마지막 날인 오늘, 뭔가 수상하다. 시 ...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2010년 12월 31일 오후 11시 59분, 미스터 클락의 긴장은 최고조에 이르렀다.숨죽이며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5! 4! 3! 2! 1! 1! 1!두둥! 이런, 연구실 안의 모든 시계가 멈췄다. 전자시계는 숫자가 바뀌지 않고, 손목시계는 바늘이 멈췄다. 휴대전화는 먹통이고 전자레인지 시계는 00:00으로 깜빡거 ... ...
- PART 2-1. 째깍째깍, 수학으로 가는 시계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세슘이와 수정이의 이야기를 들으며 골똘히 생각에 빠진 클락. 시계를 과학자가 만들었다는 사실에 한 번 더 놀랬다. 그런데 세슘이는 수학도 잘해야 한단다. 아~ 과학도 어려운데….근데 있잖아. 나는 컴퓨터의 오른쪽 밑에 나오는 시계나 휴대전화 시계, TV나 라디오 시계가 가장 정확한 시계인 줄 ...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너희의 말을 들으니까, 시계가 정말 대단한 일을 하고 있구나. 진짜 피곤하겠다. 그동안 모른 척했던거 진심으로 사과할게. 아 참! 그런데 수정아, 너희가 발명되기 전에는 어떤 재료를 이용해서 시계를 만들었어?내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톱니바퀴나 진자를 이용해 시계를 만들었어. 난 지금도 톱니 ...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1년 01호
- 2파트는 상온 다강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와 김재욱 박사가 다강체의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글이다. 3파트는 얼음과 구조가 같은 스핀 아이스라는 물질에서 구현된 모노폴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뤘다.아직 물리학자들에게도 낯선 수상한 물질 삼형제를 ...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미국 럿거스대 물리학부 정상욱 교수팀(논문의 제1저자는 당시 박사과정 학생이었던 허남정 현 인하대 물리학과 교수)이 만든 터븀망간산화물(TbMn2O5)은 영하 270℃의 극저온에서 강한 자기장(지구자기장의 약 4만 배에 해당하는 세기)에 의해 전기 분극이 양에서 음으로 ...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이렇게 키운 박테리아에 들어 있는 인의 양은 정상적인 수준보다 적었다. 울프 사이먼 박사는 “이 정도 양의 인으로는 박테리아가 살 수 없다”며 “이는 박테리아가 비소를 인처럼 이용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연구팀은 비소의 동위원소를 이용해 비소가 박테리아 내부에서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실으면 된다는 답을 내놨다. 우주에서 다시 원래 모습대로 펼치면 된다는 것이다. 랭 박사는 자동차 에어백도 설계했다. 에어백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접혀 있다가 자동차에 ‘사람이 다칠 만한’ 충격이 가해지면 기체가 들어가면서 순식간에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다. 에어백을 아무렇게나 구겨 ... ...
- NASA, 3D 달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1년 01호
- 경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극지를 더 많이 지난다.뉴먼 박사는 “앞으로 2년 동안 관측을 계속할 예정”이라며 “달 극지에서 GPS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받는 원정 의료 행위도 자제해야 한다. 저널 ‘병원감염’에서 영국 위크셔대의 뮈르 박사는 “시스템이 다른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의료 서비스를 받는 이른바 의료관광이 NDM-1을 빠르게 확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NDM-1 생성 다제내성균이 처음 발생했던 2008년 3월 한 유럽인(인도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