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겉모습도 전형적인 장어류와는 거리가 멀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
생물
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정리한 ‘현산어보를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화학이나
생물
과 같은 분야에서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학생입니다. 2005, 2006년에 걸쳐
생물
실험 및 생태 체험 학습 캠프 과정을 수료하고, 작년에는 ‘화학탐구 프런티어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본선에 오르는 등의 자기 발전을 위한 실질적 노력이 자연과학분야에 대한 진학 목표를 세우는 데 ... ...
청자색 비늘로 치장한 피라미의 외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개체 수 확보와 서식지 보호가 시급한 어종이다.하천의 포식자 가물치 vs. 배스자연 속
생물
이 모두 그렇듯이 우리 민물고기도 매사 편하게 살 수는 없다. 먹이를 찾아다니고 쉴 곳을 마련해야 하며 특히 포식자로부터 자신과 새끼들을 지켜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수중세계에서 강자로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역시 ‘섬 왜소증’의 결과로 오늘날 독일 작센 지방의 섬에 고립돼 있었다. 독일 본대 고
생물
학연구소 마틴 샌더 박사는 2006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당시 해수면 상승으로 섬에 고립된 유로파사우루스의 조상은 먹이가 부족해지자 왜소화 방향으로 급격히 진화했을 것”이라며 “뼈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만약 어떤 산에 대해 알고 싶다면 입구부터 정상까지 차근차근 오르면서 어떤 나무가 있고, 어디쯤에 계곡물이 흐르는지를 봐야 한다. 그러나 같은 산이라도 정상 ... 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또 “BT와 IT처럼 학문 간 융합을 즐기는 사람에게 시스템
생물
학을 추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지원 자격을 제한한다고 명시한 학교는 성균관대의 ‘과학인재 전형’(의예과는
생물
·수학·물리·화학올림피아드 은상 이상 입상자), 한양대의 ‘재능우수자 과학재능 전형’(한양대가 인정하는 권위 있는 국제대회 입상자 및 참가자 또는 전국 규모 대회 입상자)을 비롯해 몇 개 대학에 불과하다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004년 연구단은 세계 최초로 쥐의 미세혈관을 조영제 없이 촬영하는 데 성공해 ‘국제의학
생물
물리학회지’에 발표했다. 그해 이 논문은 가장 많이 내려 받은 논문과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연구단은 X선현미경으로 금속을 전기도금하는 과정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이 ... ...
생체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필요한 반도체공정관련 지식도 필요하다. 또 전자공학적 지식 외에 세포
생물
학 같은
생물
학 지식도 공부해야 한다. 생체전자공학 관련 과목으로는 의용생체공학, 신경과학 등이 있다.5. 어떤 학생을 원하나요?새로운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주어진 문제에 대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어디 있겠는가’라고 말한다. 따라서 다윈의 자연선택설과 적자생존의 원칙이 대부분의
생물
들의 이타적 행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나 인간은 복잡한 문명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탓에 예외적으로 진화론적 요인 외에도 학습 등의 환경적 요인이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듯 하다. 그러나 중요한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09.5°다. 이는 정사면체의 중심에서 네 꼭짓점으로 잇는 선분들이 이루는 각도다. 독일의
생물
학자 에른스트 헤켈이 스케치한 원생동물 방산충의 뼈대를 보면 중심의 방울만 없다면 정사면체에서 중심과 모서리를 잇는 평면들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여기서 우리는 곡면끼리 120°로, 곡선끼리 109.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