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예정이에요.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이용해 2주 동안 애기장대 씨앗을 키워 볼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Part 3. [활약2] 지구를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낮추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일단 우주쓰레기를 청소하는 큐브샛이 추력기의 힘을 이용해 쓰레기에 가까이 다가가요. 이후 큐브샛이 지구를 향해 움직이도록 추력기를 가동해 살짝 힘을 주지요. 그럼 쓰레기는 이 힘에 의해 궤도 아래쪽으로 밀려나며 지구로 떨어지게 돼요. 큐브샛에 달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기자단 친구들은 우레탄의 화학반응을 이용해 머핀을 만들기도 하고, 하드보드지를 이용해 VR 헤드셋을 만들어보기도 했어요. 다양한 체험 코너를 둘러보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답니다.사이언스 페스티벌은 매년 열려요. 내년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더 재미있는 과학기술과 함께 만나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보물을 향해 어둠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강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빨래를 하더라도 완벽하게 지울 수 없답니다. 그래서 루미놀을 이용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피의 흔적도 찾을 수 있지요. 최근 경찰청에서는 피를 1만 배로 희석해도 빛을 낼 수 있는 루미놀 시약을 개발하기도 했어요. 시원이와 친구들이 야광봉을 꺾자, 밝은 빛이 주변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이용한 조력에너지, 땅 온도를 이용한 지열에너지, 동식물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등이 있어요. 신재생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없이도 난방 에너지와 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고, 자원이 무한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요.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신재생에너지가 앞으로 더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물론, 초신성 폭발 등 아주 먼 곳에 있는 천체의 비밀을 담고 있답니다. 즉, 중력파를 이용하면 우주를 보는 시야가 훨씬 넓어지는 거예요.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40여 년 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중력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천체물리학에서 혁명을 이뤘다”고 평가했지요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홍학을 올려놓고, 한 다리로 선 자세에서 움직임을 측정했어요. 그리고 홍학의 ●사체를 이용해 한 다리로 서 있을 때 관절과 근육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했지요. ●사체 : 사람 또는 동물의 죽은 몸. 그 결과 홍학은 한쪽 다리로 서 있을 때 매우 안정적이었고, 근육을 거의 쓰지 않았어요. ... ...
- [현장취재]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우주쓰레기를 집어 골인 지점까지 옮기면 성공! 작가님과 친구들은 연습시간을 이용해 로봇을 조종하는 방법을 익혔어요. 그리고 우주쓰레기를 가장 빨리 옮기려면 다섯 종류의 로봇을 어떻게 배치해야 할지 고민했지요. “준비~, 시~작!”섭섭박사님이 경기를 시작하는 소리를 알리자, 친구들은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것만으로도 빠르게 공장의 기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또 깊이를 인식하는 카메라를 이용해 기계를 분별하거나 공장 관리자들의 신원을 확인할 수도 있지요. 이렇게 실시간으로 산업 현장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게 되면 정전이나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가지가 있는데, 지나친 모래 채취도 그중 하나예요. 모래를 채취하는 선박이 긴 파이프를 이용해 바닷속 모래를 퍼올리고 나면 5m~10m 깊이의 웅덩이가 생겨요. 주변 모래는 평형을 이루기 위해 파도를 타고 이동하며 아주 서서히 웅덩이를 메운답니다. 그 결과, 육지의 모래까지 바다로 이동하면서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