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과일이 될 수 있냐며 정색하고 따지면 곤란하다. 도킨스는 책에서 ‘이기적 유전자’는 하나의 은유에 불과하다고 지겨울 정도로 강조한다. “간결하고 생생한 표현을 위해 우리는 은유를 사용할 것이다”(102쪽) “지금껏 유전자를 의식적인 행위자에 비유했던 작업을”(167쪽) “각각의 동물을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빅 히스토리는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을 제시한다. 우선 인간은 수십 억 개의 은하 중 하나에, 보통의 별을 도는 아주 작은 행성에 최근에서야 나타났다. 따라서 우주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그리 대단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엔진은 학 다음에 무엇이 나올지 빠르게 머리를 굴려요. 검색 엔진이 참고하는 자료 중 하나는 각 나라 언어의 말뭉치 데이터예요. 말뭉치는 소설이나 기사, 드라마 대본 등에서 학 다음에 무엇이 나올지 확률을 이용해 정리한 거대한 언어 정보입니다. 쉽게 말해, ‘학 뒤에 교가 나올 확률이 70%,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밝혔다. 연구팀이 제작한 유튜브 영상을 보면, 처음에는 분석 대상이 된 위성들이 하나씩 화면에 등장하면서 한 바퀴를 완전히 돌 때마다 마치 실로폰처럼 자신의 음계를 울린다. 그 뒤 화면은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궤적을 추적한다. 토성 고리를 가로질러 지나갈 때 각 고리의 음계가 연속해서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외부 힘을 측정한 뒤, 그에 맞춰 모터에 명령을 내리는 모터 시스템을 개발했다. 현재 팔 하나로 이뤄진 운동 로봇 ‘다이나믹 덤벨’을 개발한 상태다. 직렬 스프링 붙인 모터 제작모터 시스템의 핵심은 스프링이다. 연구팀은 일반 모터 뒤에 스프링을 직렬로 덧붙인 뒤 이를 로봇 팔에 접목했다.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크고 1보다 작은 실수 집합의 크기가 같다. 모든 실수를 0과 1사이에 있는 실수와 각각 하나씩 짝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수를 실수와 짝지을 때는 실수를 셀 수 없어도 괜찮다. 대신 함수가 이 문제를 해결한다. 함수 y=tan π(x-1/2)은 0과 1사이의 실수를 모든 실수와 일대일로 짝지어 준다. 0보다 크고 ... ...
- [매스미디어] 레고 닌자고 무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벽타기 같은 각종 싸움 기술을 배운다고. 둥그렇게 생긴 벽을 타고 올라가거나 통나무 하나만 이용해 호수를 건너는 것도 가능해. 물론 터득하는 데는 수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지. 또 칼이나 표창을 던져 적을 공격하는 것도 우리의 주특기야. 우리 닌자들의 기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고? ...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수가 줄어든다는 뜻이다. 골격근은 기다란 근섬유가 모인 다발 형태다. 근섬유는 하나의 세포로, 길다란 실 형태다. 근섬유는 다시 길다란 근원섬유로 구성돼 있다. 근섬유 표면에는 위성세포라는 근육 줄기세포가 붙어 있는데, 근육이 상처를 입으면 위성세포가 분열하면서 근섬유의 수가 늘어나고,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부재 일부가 제자리에서 벗어나는 정도에 그쳤다. 첨성대에 관해서는 놀라운 사실이 하나 더 있다. 첨성대는 신라 선덕여왕 때 지어진 이후, 단 한 번도 무너져 다시 쌓았다거나 해체해 수리했다는 기록이 없다. 수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무수한 건축물이 지어지고 없어지기를 반복하는 동안,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원리로 체내 삼투압을 조절하는지 연구해 2005년 박사학위를 받았고, 같은 연구실에서 하나의 연구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특임연구원으로 자리도 잡았다. 일본 기업에서 일하던 지금의 남편을 만나 결혼해 2009년에는 아들을 출산했다. 다른 가족 없이 남편과 둘뿐이었지만, 도쿄대 안에 보육시설이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