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살아있는 백신, 죽은 백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백신은 일반적으로 몸 속에서 두가지 경로를 통해 병균을 파괴한다. 백신이 투여되면 몸 안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방어군이 형성된다. 이 중 한가지는 병균이 세포 안에 숨어버릴 때 그 세포를 ‘폭격지점’으로 삼는다. 이 역할을 담당하는 몸 속 방어군은 T세포(임파구)라고 불린다(세포성 면역).또 ... ...
인터넷 기업군단 거느린 소프트 뱅크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세계적인 연구수준을 가진 교수와 연구진이 즐비하다는 점을 놓치지 않았다. 그는 물리
학과
의 모더교수를 찾아가 자신의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지금은 제게 자금이 없지만 시제품이 완성되면 일본으로 가서 계약금을 받아와 그 때 보수를 지불하겠습니다”고 말했다. 처음에 교수는 자그마한 ... ...
프로게이머 24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기능이 아닌 감각을 키워라국내 게임 산업이 발전하고 확산되면서 몇몇 대학에서는 게임
학과
를 개설해서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게임 방법을 가르쳐주는 게임학원에서 프로게이머를 강사로 채용하기도 하지만 프로게이머를 희망하는 사람수에 비하면 여전히 ... ...
1. 천연두가 지구상에서 사라진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원리를 다른 가축에게 적용시킨 결과 성공적으로 질병이 예방된다는 점을 증명했다. 면역
학과
백신분야가 학문으로 정립되는데 결정적인 촉매제가 된 일이었다.파스퇴르는 약해진 병균을 ‘백신’(vaccine)이라고 명명했는데, vacca는 라틴어로 소를 뜻한다. 제너의 업적인 우두 접종법을 기념하기 ... ...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개발한 에이즈 DNA백신으로 우선 생쥐 실험을 마치고 녹십자와 제넥신(포항공대 생명과
학과
벤처기업)의 지원으로 2년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독일 영장류 동물센터에 실험을 의뢰했다. 연구팀은 11마리의 원숭이를 4그룹으로 나눠 3그룹에 성교수팀이 제조한 3종류의 DNA백신을 각각 투여하고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보장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미래시대를 대표하는 용어로 불리는 디지털 혁명도 수
학과
함께 시작한다.프랑스의 푸리에(1768-1830)의 이론에 따르면 모든 주기적인 현상은 sin이나 cos등 삼각함수의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 이론은 1948년 미국의 벨 실험실(Bell Lab)의 섀논이라는 수학자의 논문 '통신의 ... ...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있지만, 전체 천문학자들 중 약 15%가 여성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런데 1999년 현재 천문
학과
대학원 졸업생의 25%가 여성이다. 이 비율은 대략 박사후과정에까지 유지된다. 그러나 교수직 등 학술분야의 고위직에 가면 비율은 급격하게 떨어진다.한편 ‘지위’는 여성천문학자들이 겪은 일화들을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그렇다면 곡면이 나올 확률과 평면이 나올 확률이 다를 수밖에 없다.고려대학교 통계
학과
허명회 교수는 1995년 논문에서 윷짝의 독특한 모양을 고려해 새로운 확률값을 제시했다. 그는 ‘윷이 바닥에 닿은 순간 어느 면이 나올지 정해지고 더 이상 구르거나 튀지 않는다’는 가정 아래 윷짝의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사람들이 오늘도 밤잠을 설친다.헬브레스 개발 책임자인 고광현씨(29세,단국대 전산통계
학과
대학원 졸)는 가상공산을 만드는 일에 흠뻑 빠져있는 시멘텍의 또 하나의 축.그는 대학시절부터 게임에 미쳐 게임 개발을 했다고 한다.그러나 현재 그가 받는 월급이라고는 고작 70-80만원 수준.흔히 ... ...
자기공명으로 생명의 비밀 푼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신호의 크기는 해상도의 3제곱에 비례해 작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KAIST 물리
학과
자기공명연구실에서 1.4μ의 해상도를 가진 세계 최고의 MRI현미경을 개발했다.KAIST 자기공명연구실의 이순칠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MRI현미경은 세포의 신진대사는 물론이고, 정자와 결합한 난자의 분열 등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