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뉴스
"
미래
"(으)로 총 7,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재용·정의선 오늘 2차 회동…차세대 모빌리티 협력 도모
연합뉴스
l
2020.07.21
sec급 초저지연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미래
핵심 통신 기술이다. 인공지능은 삼성이
미래
먹거리로 삼고 집중 육성 중이다. 현대차는 이번에 이재용 부회장을 남양연구소로 초청하면서 재계 총수에게는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그동안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해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 ...
UAE 화성 프로그램 이끈 힘은 '30대''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관련해 가장 포괄적이고 전체적인 그림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UAE는 우주 개발을
미래
기회를 창출할 기회로 보고 있다.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극한 과학기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주로 금융 전공을 선호하던 대학생들도 공학과 수학, 물리학으로 몰리기 ... ...
"중국 추격, 미중갈등에서 앞서나가려면 '소부장 2.0'로 맞서야"
2020.07.20
대해 공급망을 관리할 계획이다. 사실상 소부장 대책이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넘어
미래
한국의 산업과 기술 분야의 향방을 쥔 ‘열쇠’로 확대된 것이다. 정부 각 부처에 산재한 소부장 R&D 대응책을 총괄해 온 김성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직장내 성적 괴롭힘에 대하여
2020.07.18
빠지고 만다.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으며 본인을 탓하기도 한다. 직업과 생계, 자신의
미래
가 걸려있는 일이기에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자신을 지지해주는 동료를 찾는 일도 힘들다. 그러다보니 바로 빠져나오거나 고발을 하기보다 가해자와 계속 마주치며 상황을 개선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 ... ...
KIST 신임 원장에 윤석진 책임연구원...재공모 끝에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부터 KIST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연구기획조정본부장,
미래
융합기술연구본부장, 재료소자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또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본부장을 역임했다. 연구회 1기 이사장인 이상천 이사장과 함께 출연연구기관 간 융합연구를 ... ...
천랩,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및 역학 추적 플랫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대규모의 전장유전체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
미래
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신종 감염병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만큼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종식 천랩 대표는 “누구나 NGS 데이터만 있으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 ...
게임 '아이템 뽑기' 확률 표시 의무화된다…과다결제 줄어들까
연합뉴스
l
2020.07.17
규범이 발달해있다. 사업자가 자율 규범을 준수하고 정부는 현장을 감독하는 방식이
미래
지향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효석 기자 = 박승범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장이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법무법인 세종 세미나실에서 열린 한국게임법과정책학회 '게임산업 진흥 ... ...
"백신 동등한 접근권 보장해야" 문 대통령 등 8개국 정상 기고문(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전 세계 무력 분쟁의 휴전을 촉구했던 사례와 같이, 성공적으로 관리되는 백신의 보급은
미래
를 위한 다자주의 강화의 초석이 될 것이며, 우리 모두가 위기 이후 함께 더 강하게 복귀하는 데 있어 중요한 걸음이 될 것이다. 우리는 전 세계 지도자들이 모두를 위한 더 큰 자유의 정신에 입각하여 ... ...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되지 않았다. 최소 올해 정도는 지나봐야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래
산업전략연구소 산하에 있던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와 패키징기술센터가 연구소 산하로 편입되며 시너지 효과도 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정책을 입안하고 수행하는 곳이기 때문에 연구를 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소부장2.0 성공을 기원하며
2020.07.15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을 기업에게 떠넘겨서는 안 된다. 정부가
미래
를 위한 소부장 생산 기술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첨단 소재기업의 국내 생산을 우리의 기술 개발 성과라고 우겨서는 안 된다. 자칫하면 국민을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