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일본의 경우 고등학교와 특수학교는 우리보다 앞서 있지만 초중학교는 우리보다 낫다고
보기
힘듭니다. 미국 일본과 우리의 GNP를 감안하면 우리 여건이 결코 뒤떨어졌다고 볼 수 없어요.조-하드웨어 때문에 고생한 얘기 한가지 할께요. 89년 시범학교로 선정되고 나서 D회사의 8비트 컴퓨터 32대가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변화(돌연변이)로 그 기능 및 구조가 조금씩 바뀌는데 이들이 모두 동시에 창조됐다고는
보기
어렵다. 진화론자들은 유전자 중복모델, 전이요소 그리고 유전자 재조합 등으로 중복유전자를 설명하는데 창조론의 관점에서 이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돌연변이나 유전자재조합에 의한 변이에 따라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가장
보기
힘든 물체로 인식돼 있다. 그러나 어떤 이들에게는 맨눈으로 보이는 가장
보기
쉬운 성운으로 알려져 있다.북아메리카 성운은 정말로 맨눈으로 볼 수 있을까. 경남 화왕산과 천황산 같은 뛰어난 관측지점에서 이것을 맨눈으로 보았다는 주장들이 있다. 국내의 훌륭한 관측가인 황준호씨도 ... ...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또 한 생명체에서 다른 생명체로 연속적으로 진화됐다고
보기
때문에 중간형태의 화석이 지층 순서대로 무수히 많이 존재할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그렇지만 실제로 고생대에서 신생대까지의 12개 지층을 수직으로 모두 보여주는 지층기둥은 지금까지 지구 어디에서도 ... ...
2 통신공간을 통해 맛보는 새로운 세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접속하였다면 차근차근히 케텔이라는 전체 공간을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구경해
보기
바란다. 자신이 컴퓨터통신에 직접 참가하려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케텔에는 전자신문(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국경제신문 등 뉴스기사)을 비롯하여 생활정보,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믿기 힘들 정도로 우연한 돌발 사고이지만, 역으로 그렇기 때문에 계획적인 공작이라고
보기
는 더욱 어렵다는 강교수의 설명이다.두번째는 핵무기개발과 이휘소와의 상관관계다. 이박사의 전공이 핵물리학에서 더 발전한 소립자물리학이며, 그가 재직하던 페르미연구소가 원폭제조의 공로자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별 하나쯤은 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별빛이 너무 약해 그 별만
보기
는 힘들더라도 무한한 수의 별들이 있을땐 적어도 빛이 만들어내는 구름은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사실 하늘은 무한한 수의 별들이 비추는 구름으로 가득차서 태양의 표면만큼 밝고 뜨겁게 빛나야 하는 ... ...
영국에 무공해세제 유해논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양모의 경우 모공이 막힌 모습이었다. 이 회사의 대변인은 "소비자들은 흔히 겉
보기
에 옷이 얼마나 깨끗하게 세탁됐는지로 세정력을 확인할 뿐 섬유수명이나 위생문제까지는 헤아리지 못하기 때문에 이렇게 공개비교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합성세제 속의 인산은 생활하수로 방류돼 물의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
보기
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 다. 이 중에서 별이 모여서 된 것이 성단인데, 여기에는 구형으로 된 구상성단(globular cluster)과 불규칙적인 산개성단(open cluster)이 있다.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과학교육은 교육제도나 교육과정상으로 보면 한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다른 점을 찾아
보기
힘들다. 그러나 과학교육을 지원하는 체제 즉 학교시설이 우리보다 훌륭하고, 학급당 학생수가 30~40명으로 학습하기에 적당한 규모다. 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실험 기자재를 문부성 기준령의 100% 이상씩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