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매우 낮아서 초저온 과학 실험에 쓰여요. 때론 잠수부의 공기통에 질소를 대신해 헬륨을 사용하기도 한답니다.이렇게 쓸모가 많은 헬륨은 누가, 언제 발견했을까요?헬륨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화학자 ‘피에르 장센’이에요. 그는 1868년 8월 18일,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태양을 분광기로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수 있으려면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면서도 “앞으로 냉동 인간 기술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 ...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섭취하게 된답니다. 냉동 인간의 원리를 응용한 ‘저체온 수술법’도 이미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어요. 저체온 수술법은 냉동 인간처럼 환자의 체온을 낮춰 수술하는 방법이에요. 체온을 20℃ 정도로 낮추면 피가 흐르지 않고 멈추게 돼요. 그럼 수술 도중에 피를 많이 흘려 위험해지는 것을 막을 수 ... ...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과 모래를 배관과 벽에 강하게 뿌리거나, 오염부위를 레이저로 자르는 등 여러 방법을 사용해 방사능 수치를 계속 낮춰 줘요. 그래야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줄어들고, 사람이 들어가서 건물과 내부의 설비들을 절단하고 철거할 수 있게 되지요. ➊ 원자력 발전소 내부 구조물을 절단한 뒤, 방사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자원을 보존하는 거예요. 이미 멸종된 민물고기 종을 복원하거나 관상용이나 식량으로 사용되는 민물고기들을 기르며 보존하고 있지요. 해외에 사는 민물고기 종도 함께 연구해요. 지구 전체에 살고 있는 민물고기 종 수는 약 2만 5000종에 달해요. 이 가운데 215종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됐지요. 지사탐 ...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저장 시설을 지을 계획을 갖고 있어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이 건설될 때까지 사용후핵연료를 임시로 보관하겠다는 거예요. 많은 수의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한 미국도 현재 이 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답니다. #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논의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어요. 그만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조작하다’에서 사용되는 ‘조작(操作)’은 ‘잡다, 다루다’라는 뜻을 가진 ‘잡을 조(操)’와 ‘만들다, 일하다’라는 뜻의 ‘지을 작(作)’이 합쳐진 단어예요. 기계나 사물을 자기가 원하는대로 조종한다는 뜻을 담고 있지요.‘잡을 조(操)’는 ‘손 수(扌=手)’와 ‘울 조(喿)’가 합쳐진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힘과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일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도구를 정교하게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조류에도 흔들리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야 하지요.이를 위해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에서는 로봇도 이겨내기 힘들 만큼 강한 조류를 일으키는 특수 수조도 마련해 두었답니다. 이곳에서는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빈 나뭇가지를 두들겨서 음악을 연주하는 거예요.침팬지처럼 먹이를 잡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은 꽤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도구를 이용해 음악을 연주하는 동물은 우리뿐이지요.모두 같은 음악을 연주하는 거야?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 연구팀은 야자잎검은유황앵무새가 연주한 131곡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5화] 액체를 고체로 변신시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하지만 실험키트에서는 어린이들이 이 원리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송진 대신 글리세린을 사용하지요.순수한 글리세린의 어는점은 18℃예요. 즉 18℃보다 온도가 낮을 때는 고체 상태이고, 18℃보다 높을 때는 액체 상태죠. 그래서 글리세린을 전자레인지에 10초만 데워도 액체가 되고, 이 액체를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