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효험
효능
결과
효력
작용
가치
스페셜
"
효과
"(으)로 총 3,517건 검색되었습니다.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18
싶은 걸 들고 온 다음에 이를 중복되지 않게 다시 배분하는 바텀업(bottom-up) 방식에서는
효과
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대신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같은 콘트롤 타워가 먼저 큰 그림을 그리고 난 뒤 이 뜻이 현장까지 잘 전달될 수 있게 각 부처들이 협력해서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리는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3.19
여부가 좌우된다”며 “과학벨트의 꽃을 피우는 것은 기능지구이며 오창과 오송에서
효과
를 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시종 도지사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 신기술을 뒷받침할 법규 제·개정 작업 △바이오산업 관련 7개 부처 역할 조정으로 중복 투자 방지 등 관리 감독 △윤리의식을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많은 연구자들이 모여 중심이 잘 갖춰졌다”며 “향후 생명공학 연구의 커다란 시너지
효과
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 단장은 “우리나라 생명공학 수준은 상당히 높아져 이제는 미국국립암센터(NCI)와 같은 기관에서 협력 연구를 하자고 요청이 올 정도”라며 “서로 좋은 결과를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효과
를 동물에게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자에 실렸다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건립 중이다. 해양 생물의 표본 확보와 DNA은행 설립을 통한 해양생명자원의
효과
적 관리가 목적이다. 박 국장은 “국립 해양생물자원관은 과학자들에게 ‘허브’이자‘클러스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생명공학이 다른 생명과학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박 국장은 해양이 갖는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수밖에 없어서다. “예전까지는 ‘늦더라도 대규모로 투자해 따라잡는’ 과학정책이
효과
가 좋았습니다. 한국 연구자들이 근면하고 성실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연구역량을 제대로 키우려면 미래를 예측해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어떤 분야의 인력을 육성할지 전략적으로 판단할 필요도 있습니다.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삼성, 셀트리온 등 참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번 BIO 행사에서 천연물 신약, 항암
효과
를 내는 항체 등을 기초연구 성과로 내세웠다. 정흥채 생명연 성과확산실장은 “생명연의 연구성과를 알리고, 신약개발 연구를 함께 할 다국적 제약사를 발굴하고 있다”며 “최신 바이오 기술이나 산업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방법이라고 김 단장은 주장했다. 그는 “과학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이공계를 기피하는 역
효과
가 날 뿐”이라며 “고교에서 대학까지 자연스럽게 과학에 흥미를 갖고 좋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훌륭한 연구 성과를 내 학생들이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정보기술(IT)이 매우 발전돼있다”며 “우수한 기초 연구와 IT를 접목시키면 시너지
효과
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 울렌 교수의 ‘이것만은 꼭!’ △연속성을 갖고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 △발전된 IT와 BT를 결합하면 한국의 바이오 역량은 해외에서도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김 원장은 “바이오는 미래 한국의 성장 동력”이라며 “한정된 연구 지원으로 최대
효과
를 내려면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정책을 끌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 원장은 연구개발(R&D) 인력의 연구수행 역량을 강조했다. 그는 “전문지식을 잘 아는 것과 실제 R&D 수행 역량은 별개”라며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