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요
요약
개략
적요
개괄
결론
요지
d라이브러리
"
대의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쓰이고 있지만 원거리 통신을 이용한 수술은 아직까지 불가능하다.원격 조작에는 두
대의
촉각 재현 장치가 필요하다. 하나는 사람이 조작하는 마스터 장치, 또 다른 하나는 직접 대상을 만지는 슬레이브 장치다. 마스터의 위치 정보가 통신채널을 통해 슬레이브로 전달되면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있다.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자연농업과학과 게리 캐스 교수와 호주 에디트 코완
대의
동시대 현대아티스트 도나 프랭클린은 마이크로비(Micro‘be’)라는 연구팀을 만들어 와인드레스를 개발하고 있다.그들은 아세트산균(Acetobacter xylinum)이 와인에서 발사믹 식초 원액을 만들 때 셀룰로오스도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즉 중간권은대기 중에서 가장 차가운 층이다.AIM 연구의 총책임자였던 미국 햄프턴
대의
제임스러셀 교수는“중간권에서 기온이 예전보다 떨어진 것이 야광운이 예전보다 늘어난 타당한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지표면에서 수십km 높이에 있는 대기의 기온을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비올라 같은 현악기 소리 등을 낼 수 있다. 건반을 누르면 연결대가 움직이면서 바람공급
대의
음정밸브가 열리고 닫힌다.오르간 옆에는 아직 꽂다 만 파이프들이 쌓여 있었다. 한쪽에는 나무로 만든 기다란 관도 있었는데, 이것들도 물론 파이프다. 그는 “파이프를 만드는 재료는 대개 ‘오르간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코리아 프로젝트는 미국이 주도하는 기존 세티 프로젝트와는 다른 특징이 있다. 몇
대의
망원경을 지역적으로 띄엄띄엄 떨어뜨려 운영하는 방법을 쓴다. 서울 연세대, 울산 울산대, 제주 탐라대 교내에 각각 설치된 지름 21m짜리 KVN 전파망원경 3대가 그 주인공이다. 이 전파망원경은 주로 활성은하의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친구와 이야기를 나눌 때 두
대의
휴대전화를 이어 주는 선이 보이는가? 로켓이 우주를 향해 날아갈 때 로켓을 번쩍 들어 올려 주는 손이 보이는가? 교향악단의 악기가 웅장한 음악 소리를 낼 수 있게 해 주는 공기의 떨림이 보이는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세상을 즐겁고,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어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기본은 다량의 데이터를 일거에 쏟아내는 데 있다. 그러자면 특정 공격자가 다루는 한
대의
컴퓨터로는 부족하다. 공격자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는 협력자 또는 하수인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그래서 필요한 것이 좀비 PC다. 일반 사용자의 PC에서 ‘영혼을 빼앗아’ 공격자 마음대로 부릴 수 있는 ... ...
[입학사정관제] 2010 입학사정관 전형 특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싶다면 경시대회와 같은 수상실적을 부각하도록 한다.② 서류평가에 더 집중해라.이화여
대의
입학사정관제는 면접에 비해 서류평가의 반영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또한 전형에 따라 강조하는 비교과 요소가 다르므로 전형을 잘 살펴서 관련 서류를 제출하도록 한다. 서류심사에서는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보다 한 단계 진보한 ‘자동열차제어장치’(ATC) 방식을 사용한다. 한 궤도 안에 두
대의
열차가 진입하면 두 열차 사이의 위치를 파악해 적절한 운행속도를 알려 준다. ATS는 작동하지 않아도 열차가 운행할 수 있지만 지하철 3~8호선의 ATC는 작동하지 않으면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다. 역간 거리가 ... ...
色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높아졌다.우린 일상적인 일을 수행하면서도 색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미국 휴스턴
대의
심리학자 마이클 골드스타인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은 빨간 빛의 영향을 받고 있을 때에 시간의 흐름을 더디게 느낀다. 반대로 초록색이나 파란색의 빛을 받을 때는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