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여전히 물리학을 연구하는 소수의 친구가 있다. 20대를 좀 더 성실히 보냈다면 나도 그 세계에 참여했을지 모른다. 때로는 그 친구들이 부럽기도 하지만, 첨단 산업의 영역에서 일하는 기분은 학계에서 한 분야의 대가가 되는 것만큼이나 뿌듯하다. 늘 새로운 내용을 공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지만, ... ...
- 야! 너두 할 수 있어....POSTECH 학생들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3호
- CEO인 하태혁까지! POSTECH 대학생이자 학교를 홍보하는 알리미 3명이 나와 있다. 그런데 세 명 모두 를 보고, 수학에 매력을 느꼈던 공통점이 있다. 전공도, 꿈도, 가치관도 모두 다른 이들에게 중고생 시절 수학 공부법을 물었다. 차근차근 수학 성적 올리는 방법Q. 인생 최악의 수학 점수가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주었듯이 말이에요. ◼︎ 지식을 향한 열망 ◼︎ 그리스어 연습장을 한창 작성하던 16세에 러셀은 입대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다니는 육군 예비학교에 입학합니다. 안정적인 공간에서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수학과 입학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였죠. 그러나 이곳의 생활은 러셀에게 전혀 맞지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생각해요. 그렇기에 미래에는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세상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터뷰 김승권(네이버웹툰 웹툰ME 개발자), 이호영(툰스퀘어 대표)“AI로 누구나 웹툰 그리고, 출연까지 한다?!” Q움직이는 웹툰도 나올까요? 김 2022년 6월, 네이버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술궂던 구름, 적성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개의 날개만 이용해 풍력발전기를 만들 수도 있지만, 날개가 3개인 편이 무게가 세 방향으로 분산되어 더욱 안정적이에요.풍력발전기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바람개비 형태의 ‘수평축 풍력발전기’ 말고도 풍향계 모습의 ‘수직축 풍력발전기’도 있습니다. 수평축 풍력발전기가 방향에 영향을 ... ...
- [꿀꺽! 수학 한 입] 수리수리 더하기, 마방진이 되어라, 얍!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점들이 가로, 세로 3줄로 배열되어 있었고, 가로, 세로, 대각선 어떤 방향으로 더하든 세 수의 합은 15가 됐어요.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마방진이에요. 사람들은 마방진에 놓인 수를 귀하게 여겼답니다 ... ...
- [퍼즐 마법학교] 옴니스 거리 나눔 장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붙이려는데, 앗! 준비한 가격표를 집에 두고 왔나 봐. 이런가격을 다시 정해야겠다! 마법 세계의 돈의 단위는 ‘아우룸’이야. 어릴 때 몇 번 신었지만 작아져서 더는 찾지 않는 신발은 7아우룸, 예뻐서 샀는데 색이 안 어울려서 한 번 입고 말았던 망토는 15아우룸, 1학년 수업에서 썼던 교재는 ... ...
- [우주탐험대] 매리너 2호 / 금성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을 공전*한최초의 탐사선이랍니다. 금성금성은 태양과 달에 이어 세 번째로 밝아요.금성이 밝은 건 두꺼운 대기*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에요.대기가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반사하여 행성이 빛나 보이지요.하지만 두꺼운 대기는 온실효과*를 일으켜요.금성의 표면* 온도는 ... ...
- [빅잼] 여러분의 인류세를 SF로 보여주세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첫 번째 서랍에 있어야 했다. 한 생각이 이현의 머릿속에 다다랐다. 책에서만 보던 그 세계관. “평행우주…?” 이현이 믿기 어렵다는 듯 중얼거렸다. 책상 위에 놓인 서류를 들춰봤다. ‘순간이동 레이저기, 일명 ‘위고업T-H19’ 상용화 준비중’. 이상하다. 순간이동 레이저 장치는 아직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마블 역대급 빌런 정복자 ‘캉’ 앤트맨이 이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있습니다. 4D 물질 및 4D 프린팅 개발의 대가라 불리는 스카일러 티비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2013년 4월 테드(TED) 강연에서 자가조립을 할 수 있는 물질을 공개했습니다. 4D 프린터로 프린팅한 기다란 막대 모양의 물질을 티비츠 교수가 차가운 물에 넣자 MIT라는 글자로 접혔습니다. 온도에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