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무엇이 매머드 왕국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라진 매머드는 말이 없다. 다른 동물의 운명도 매머드와 크게 다 르지 않았다. 털코뿔소는 빙하기가 끝날 무렵 갑작스런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없 어지자 서서히 멸종의 길로 들어섰다. 마 스토돈 역시 인간들의 과도한 포획과 기 후변화로 멸종했다. 메갈로케로스는 천 적이었던 검치호랑이나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없는 것으로 결론났지만, 성과가 아주 없지는 않았다. 사익스 교수는 예티샘플 두 점이 최소 4만 년 된 고대 북극곰 턱뼈와 DNA가 일치한다는 의외의 사실을 발견했다. 샘플들은 각각 라다크와 부탄 왕국에서 발견된 것들이었다. 그 바람에 연구팀은 히말라야 곰이 지금은 멸종한 고대 곰과 갈색곰의 ...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가지 않을래?안 돼요, 닥터 그랜마. 기제류는 나처럼 달리기가 빠르기도 하고 코뿔소처럼 무시무시한 뿔을 가지고 있기도 하지만, 이는 스스로를 보호할 수단일 뿐이에요. 우리는 풀을 뜯어 먹는 초식동물이어서 남을 공격하는 데는 전혀 익숙치 않지요. 게다가 하루에 먹는 풀의 양이 엄청나서 ...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눈 주변이 시커먼 곰아, 너는 누구니?나는 곰과에 속하는 동물인 판다예요. 중국 쓰촨성이나 황하강 남쪽처럼 대나무가 무성한 산지에서 살고 ... 그랜마가 대나무만 먹는다면 잔뜩 체하거나 설사병에 걸릴지도 몰라요. 차라리 고기와 채소, 밥을 골고루 먹는 것이 건강에 훨씬 좋을 거예요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하마 똥을 먹지요. 이밖에도 엄마 코알라의 묽은 똥은 아기 코알라에게 유칼립투스 잎을 소화할 미생물을 전달해 주는 먹이가 되기도 한답니다.돌고 도는 우리 똥1960년대만 해도 우리나라 변기 대부분이 재래식이었어요. 특히 시골에서는 땅에 구멍을 파서 항아리 같은 큰 그릇을 묻고 위에 발판을 ... ...
- 트랜스지방이 안 좋은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등에서도 우리를 만날 수 있지요. 젖을 만드는 소나 양 같은 동물의 위장에서 미생물이 소화를 도울 때에도 우리가 생긴답니다. 자연적으로는 전체 지방의 5% 내외로 들어 있어요.지방이라니? 그럼 널 많이 먹으면 살이 많이 찌겠구나!사람들은 나를 먹고 살이 찌는 것보다 건강이 나빠질까봐 걱정을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0.03g 연료로 한반도 끝까지 간다태양에서는 무수하게 많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수소 핵융합은 별에서나 가능한 초고온, 초고밀도 환 ... 핵융합의 난관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1799년 프랑스의 나폴레옹 원정군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특이한 돌을 발견한다.고대 이집트 문자와 그리스 문자가 나란히 새겨진 이 돌 덕분에 인류는 그동안 비밀 ... 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BRIDGE. 로제타, 실패해도 괜찮아PART2. 소행성 ‘보쌈’해 지구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왔다. 기술의 편리함에 취해 이점을 누리다가 나중에서야 그 부작용과 해악을 깨닫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윤리를 논한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로봇기술이 재앙을 몰고 오기 훨씬 이전에 로봇윤리를 정립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인류는 ‘터미네이터’의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시작했다. 1980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32.4kg이었다. 그러나 식습관이 변하면서 쌀 소비량이 꾸준히 줄었다. 작년에는 67.2kg까지 줄었다. 세계화로 인한 무역도 문제였다. 1993년 선포된 우루과이라운드 이후 우리 정부는 외국쌀을 의무적으로 일정량 수입했다. 작년 한 해만 쌀을 50만t 이상 수입했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