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리"(으)로 총 1,4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최근 조합론과 컴퓨터 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SNS가 인터넷에 올라온 논문 하나 때문에 떠들썩했습니다. 민감도 추측이라는 컴퓨터 과학 분야의 오랜 추측을 이 분야 연구자라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간결하게 증명한 겁니다. 답이 ‘예’ 또는 ‘아니오’ 둘 중 하나로 나오는 ... ...
- [실전!반려동물] 잠만 자는 고슴도치, 깨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도시에서 적응하지 못한 것이 있어요. 바로 새로운 천적, 자동차예요. 야생 고슴도치는 수리부엉이나 오소리 등 천적을 만나면 다리와 꼬리를 집어넣고 몸을 둥글게 말아요. 천적이 삐죽삐죽 가시가 돋힌 공 모양 고슴도치에 위협을 느끼고 가까이 다가오지 못하게 하는 전략이지요. 도시 ...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주고 있다.수학은 질병의 진단 및 치료뿐 아니라 의약품 개발에도 사용된다.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통해 신약 개발의 걸림돌이었던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신약을 개발할 때는 사람에게 직접 시험하기 전 쥐 등의 동물에게 미리 투여해 실험한다. 기대하는 ... ...
- [그림으로 보는 난제] 수학문제 분류소, P와 NP는 같을까? 다를까?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컴퓨터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컴퓨터에게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알려줘야 합니다. 단순한 문제도 문제를 빨리 푸는 알고리듬을 모르면 정답을 찾지 ... ‘Guest Column: the second P =?NP poll’도움 엄상일(기초과학연구원(IBS) 이산수학그룹 CI,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디자인 유승민 일러스트 ... ...
- [수학뉴스] 물고기의 움직임 포착해 해양 생태계 지킨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는 다양한 생물이 삽니다. 마이클 보드 호주 퀸즐랜드공과대학교 수리과학과 교수팀은 이곳에서 어린 물고기의 이동을 관찰해 해양 생태계를 지킬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2년 동안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아기 산호 송어 1190마리와 다 큰 산호 송어 88 ... ...
- 학구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꼭 휴가 때가 아니더라도 취미를 즐기며 쉬는 수학자들을 만나봤는데요. 이번에는 휴가도 반납하고 연구실을 지켰던 분들이 수학동아 편집부에 찾아오셨습니 ... 대상은 확률로 묘사해야 한다’라는 확률론을 제시했습니다. 그 덕분에 저를 현대 수리통계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꼽지요 ... ...
- [따끈따끈한 수학] 그래프 채색수의 성질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진행조가현 기자(gahyun@donga.com) 참고자료아니카 헤켈 ‘Non-concentration of the chromatic number of a random graph’, 아니카 헤켈 박사 홈페이지 www.maths.ox.ac.uk/people/annika.heckel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이들은 식물의 기하학적 배열에 대한 가장 ‘괄목할 만한 결과’로 1992년 발표한 프랑스 수리물리학자 스테판 두아디와 이브 쿠더의 논문을 꼽았죠. 두아디와 쿠더는 컴퓨터 모델링을 이용해 식물의 생장에 작용하는 이론을 발전시켰고, 피보나치 패턴과 관련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들은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중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 케이블 파손이 확인됐다. 조 연구원은 “케이블을 주문해 수리할 계획”이라며 “탐사에서도 예기치 못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탐사 전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최소 4000m 해저로, 서태평양 출동해미래의 서태평양 탐사는 계획대로라면 8월 28일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신약 개발의 걸림돌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보였던 효과가 사람에게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최근 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팀과 글로벌 제약회사 화이자의 장 청 박사 공동연구팀은 수학 모형을 토대로 수면 장애 치료제의 효과가 동물과 사람에게 왜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 원인을 밝히고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김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