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드"(으)로 총 1,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 숫자가 바로 황금비다. 자연수로 바꾸면 3:5, 혹은 5:8에 가깝다. 주변에서는 명함, 신용카드, 사진 등에서 바로 이 비율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TV나 모니터에서 가로:세로의 비율을 황금비의 근사값으로 사용한다.건축물이나 직사각형 사물에서만 황금비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나눌 수 있지. Step 2 색연구소색으로 크게, 작게!음, 노란색이 가장 크네요.틀렸어! 이 카드는 크기가 모두 같아.하지만 조금씩 달라 보이는 데요?그게 바로 색이 일으키는 착시야. 색에 따라 크기가 달라 보이지. 이런 것을 색의 ‘면적감’이라고 한단다. 색의 면적감은 색의 밝기인 ‘명도’에 ... ...
-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황금비 캘리퍼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황금비는 눈에 보이는 아름다운 것에는 모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책, 창문, 신용카드, 명함과 같이 사람이 만든 생활소품은 물론이고, 고대 피라미드나 신전부터 현대의 건축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건축에도 황금비가 있다.또 화가가 그린 그림이나 조각상에서도 황금비를 찾을 수 있다. ... ...
-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사용되고 있답니다.놀이로 배우는 확률!학교에서 배우는 ‘확률’을 떠올리면, 주사위나 카드가 가장 먼저 생각나죠? 그 중 주사위는 대부분 정육면체 모양으로 등장하잖아요. 그런데 오늘은 조금 특별한 주사위를 만나볼까 해요. 이 주사위는 1975년 경주 안압지에서 발굴된 주사위예요. ‘주령구’ ...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떼어낸 뒤, 뒤에 붙이거나 리플 셔틀을 하면 카드의 순서는 바뀌지 않지만 사람들은 카드를 섞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마술사들이 트릭으로 많이 사용한다.앗! 그러고 보니 에이스는 한 번도 경고 살인을 한 적이 없었어. 범인은 에이스가 아니야! 에이스가 범인이라고 여기게 하고 싶은 또 다른 ... ...
- Intro. 피로사회 - 우린 왜 아프게 불사르며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과제에 지쳐 외출 계획은 꿈도 꾸지 못하는 대학생인가. 혹은 이미 써버린 ‘여름 휴가’ 카드를 아쉬워하며 벌써부터 내년 여름을 고대하는 직장인인가. 다가온 명절에 시댁에 갈 생각으로 벌써 몸과 마음이 피로해진 주부나, 취업 얘기로 잔소리를 들을 일이 걱정인 취업준비생일 수도 있겠다. ...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과학동아 l2012년 08호
- 훈련을 시켜보자. 3개월, 6개월, 12개월이 지난 뒤 다시 시험을 쳐도 말은 거의 잊지 않고 카드의 각 쌍에서 정답인 패턴을 골라낸다. 이는 사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자신에게 해코지를 한 사람은 한참 뒤에 만나도 피하거나 거부하지만 잘해준 사람은 기억하고 최선을 다한다는 것.미국 ... ...
- 따뜻한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카드를 갖다 대면 카드 안에 있는 코일과 단말기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때문에 카드 안에 있는 메모리칩과 신호를 주고받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다음 내가 관심을 갖고 읽은 부분은 발명 부분이다. 작은 발상의 전환이 세상을 바꾸게 하고 발명을 한 사람에게는 큰 부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처음에는 단순히 필요한 것들을 모아두는 일에서 시작한다. 언제 필요할지 모르는 카드영수증이나 고지서 등을 한참이 지났는데도 어딘가 구석에 모아 놓는 일부터 시작해서, 재활용 센터에서 눈에 띈 쓸 만한 가구나 소품을 모으거나 이미 완전히 망가져서 고칠 수도 없는 전자제품이나 작아서 ...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있다. 현금지급기에서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기 위해 신용카드 번호를 기입할 때마다 이 암호 체계가 사용되고 있다. 수학으로 암호를 풀어라! 리만가설리만가설은 1859년에 등장한 이후 많은 수학자들이 매달리고 있지만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난제다. 지난 2000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