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토"(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헬로우! 마이 네임 이즈 로보캅. 여러분, 저 로보캅이 돌아왔습니다! 새로 개봉한 영화는 물론 보셨지요? 지난 1987년, 제가 처음 영화에 등장했을 때 사람들은 저와 같은 사이보그는 있을 수 없는 가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2014년 현재, 로봇공학자들은 사이보그를 만드는 일이 불가능하 ... ...
- 웃으면 복이 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새해가 밝고, 다시 새해가 밝아요. 우리 고유의 ‘설날’, 음력 새해가 찾아 왔기 때문이지요. 설날을 맞아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2014년을 새 마음으로 맞이하는 친구들이 많을 거예요. 올해는 어떤 일을 이루고 싶나요? 365일을 어떤 꿈으로 채우면 좋을까요? 음, 잘 모르겠다고요? 그럼 이런 건 어 ... ...
- 철새 떼가 V자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하늘에서 커다란 V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철새 떼를 본 적 있나요? 철새들은 대장 한 마리를 앞세우고 뒤에서 수십 마리가 V자 대형을 이루며 함께 날아가지요. 과학자들은 철새들이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이렇게 날 거라고 추측만 했었답니다.그런데 영국 왕립수의대학교 스티븐 포르투갈 박사팀이 ...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네, 저는 지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나와 있는 과학미스터리 전문기자 이윤선입니다. 2월 14일 정월대보름을 맞아 오늘 제가 풀어드릴 미스터리는 바로 ‘달’입니다. 지난 2013년 옆 나라 중국이 달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고, 우리나라도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는 큰 프로젝트를 계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세운 채 우아하게 움직였다. 신기함과 호기심을 가득 담은 사람을 뒤로 한 채로, 한참 포토타임을 주더니 이윽고 빙하 끝을 향해 서서히 움직여갔다. 장보고기지, 갈 길은 멀어도 남극점을 향한다아무것도 없어보이는 황량한 남극 대륙에도 지의류와 이끼가 살아간다. 바위에 얼룩덜룩 무늬를 ... ...
- 감정이 다 보여요. 느낌 아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살아가며 느끼는 감정은 정말 다양해요. 좋아하는 사람을 기다릴 때와 우편함에 어과동이 들어 있을까 열어볼 때 느끼는 ‘기대감’은 같은 단어로 표현하지만 서로 다른 마음이지요. 하지만 대부분의 감정이 동반하는 몸의 변화는 비슷해요. 대상이 어떻든, 기대감을 느낄 땐 항상 가슴이 두근대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매일 아침 학교에 가기 전에 항상 하는 일을 떠올려 보세요. 비누를 손바닥으로 비벼 얼굴을 깨끗이 닦고, 칫솔에 치약을 발라 치카치카 상쾌한 소리를 내며 이를 닦지요. 어른들은 커피머신으로 갓 뽑아낸 모닝커피를 즐기기도 해요. 바쁜 사람들은 빵으로 아침식사를 때우기도 하고요. 이 모든 ... ...
- 상속자들 공평한 분배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대기업 M그룹의 ‘공평해’ 회장입니다. 저에게는 두 아들과 한 명의 딸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녀석들이 벌써부터 재산 상속을 두고 싸우고 있어요. 안 그래도 어떻게 하면 공평하게 재산을 분배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은데 말이지요.그래서 생각했습니다. 세 자녀들에게 공평한 ... ...
- 2014 설 특집 목욕의 신이 알려 주는 목욕의 비밀 5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어과동 친구들! 반가워~! 내가 누구냐고? 나는 청결을 사랑하는 뽀득뽀득 ‘목욕의 신’이라네~! 이제 곧 설날이잖아~. 설날 아침에는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목욕을 해. 그래서 이 목욕의 신이 어과동 친구들에게 목욕에 숨은 비밀 다섯 가지를 알려 주기 위해 왔다는 사실~! 엥? 다들 왜 ... ...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안녕하십니까? ‘도전! 수학자’에 참여해 주신 분들 환영합니다. 대개 수학자라고 하면 연구실에 콕 박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연구만을 할 것 같지만, 의외로 누구나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퍼즐을 연구하며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런 전통은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 때부터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