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프로젝트"(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프렌즈] 함께 단단히 성장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학교에서 화학 실험을 할 때면 화학이 재밌었다. 별을 보는 것도, 친구들과 탐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도 좋았다. 그러다 보니 김 군의 고민거리는 오히려 재미있는 일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런 김 군의 고민을 해결한 건 우연히 접한 미국의 커리어 코치인 에밀리 와프닉의 TED 강연이었다 ... ...
- [기획] 확 달라질 폴리매스! 2022년을 기약하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합쳐 해결해냈답니다. 이후 가워스 교수는 함께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폴리매스 프로젝트’라는 이름을 붙이고 지금까지 16개의 난제를 함께 풀고 있어요. 이 중 3개의 문제를 완벽히 해결해 논문을 발표했답니다. 에서도 청소년들이 함께 문제를 푸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201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모사체는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고, 호주 남쪽 400km 근방 바다에 추락했습니다. 누리호 프로젝트는 내년 5월 2차 발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두 번의 발사가 끝난 뒤에도 발사체 개발을 위한 도전은 계속됩니다 1차 발사 성공은 드물어… 2차 발사 준비 돌입 누리호를 발사한 직후 외신에서는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점점 불어났다. 2002년, NASA는 이 차세대 우주망원경에 미국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폴로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NASA 2대 청장 제임스 웹의 이름을 따 JWST라는 이름을 새로 붙였다.2004년 JWST의 거울이 제작되기 시작했다. 원래 발사가 계획돼 있던 해 직전에야 핵심 부품 제작에 들어간 것이다. 2007년이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6월 1일, 멸망까지 7분! ‘운명의 날 시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이 시계의 이름은 ‘운명의 날 시계’.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 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핵물리학자들이 주도해 만든 상징적인 시계예요.1945년 일본에 원자폭탄이 떨어지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초강대국이 서로를 견제하는 냉전 시대가 시작되었죠. 두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협업의 사례를 알려 주세요. 또, 미래에 내가 디지털 시민들과 협업하고 싶은 목표나 프로젝트가 있다면 어과동 홈페이지 ‘포스팅’에[디지털리터러시]라는 말머리와 함께 의견을 남겨 주세요 ... ...
- [오일러 프로젝트] 아름의 숫자세포들수학동아 l2021년 11호
-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없다. 핵폭탄 등을 이용해 소행성을 아예 파괴하는 방법도 있다. 2018년 NASA에서는 ‘해머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 ‘베누’를 폭파한다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문 그룹장은 “폭파 방식은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파괴되지 않은 소행성의 궤도가 어떻게 ... ...
- [NST, 모두의 연구]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처음 김윤종 선임연구원, 선광일, 한정열 책임연구원과 함께 4명으로 시작한 K-DRIFT 프로젝트는 15명으로 규모가 커졌고, 9년간 연구소의 추가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K-DRIFT의 설계를 개선하고, 극미광 관측에 더 나은 방향으로 최적화 작업을 하고 있다. 앞으로 여러 대를 추가로 제작해 관측 ... ...
- 엔지니어의 손 끝, 누리호 심장을 빚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있다. 김 차장은 “과거 우주가 일부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만 조명된 분야였다면 누리호 프로젝트로 이제 전국민의 관심을 받고 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사명감을 갖고 국내 대표 우주 기업으로 성장해 국민들의 기대에 부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