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대기"(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 1월의 BOOK소리: 말하는 나무들기사 l20200304
- 주입했습니다. 그 뒤 미송 위로는 그늘막을 쳐 햇빛이 들지 않게 만들어 광합성이 불가능하게 만들었고, 비닐봉지 떄문에 대기에서 탄소를 흡수하지도 못했습니다. 시마드는 탄소를 원하는 미송에게 자작나무가 탄소를 좀 줄 지 궁금했습니다. 그때 어미 회색곰이 나타나서 천만다행으로 주차한 트럭에 뛰어 들어갔습니다. 그로부터 한 시간이 지나, 곰이 간 것 ...
- 종이나라박물관에서 한지뜨기(종이나라박물관 2탄)기사 l20200212
- 1월 31일에 한지뜨기를 하기위해 종이나라박물관에 갔어요. 한지뜨기 체험 대기실에서 조금 기다린 후에 체험실에 들어갔지요. 물론 대기하는 동안 어과동을 보며 기다렸지요. 들어가서 먼저 선생님께 설명을 들었어요. 설명의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한지를 만들려면 닥나무를 채취하고, 닥나무를 삶고, 닥나무를 죽처럼 만들고(섬유질 분해하고) ...
- 포스팅 l20200208
- 반 신 대 기 중 .. :: 권 순 미 ( 님 ) 반 신 1 명 남 았 습 미 다 !! 성 의 글 30 자 이 상 임 미 다 !! ...
- 太陽系 :: MOON 미 션 !포스팅 l20200123
- 천문 지구의 위성(衛星). 햇빛을 반사하여 밤에 밝은 빛을 낸다. 표면에 많은 분화구가 있으며 대기는 없다. 공전 주기는 27.32일, 반지름은 1,738km이다. ≒월구(月球). 출처 - 네이버 포스트 ...
- 으아ㅏㅏ앙ㅇ 억울해요ㅠㅠㅠ ( 여기 들어와 보세요 )포스팅 l20200111
- 열나서 학교를 못갔는데 그날이 라면파티 하는 날.. 그리고 엄마가 라면을 사와서 달라고 했는데 아플땐 밀가루 먹지말라고..ㅠㅠㅠ 으어ㅓ억 낼모래 학교에서 영화관 간다고 했는데 못가면 나 진짜..ㅠㅠㅠ감기 걸린것두 제 잘못이 아니라 학예회 때문에 1시간 동안 감기걸린 친구들이랑 대기실에 있었단 말이에요 ㅠㅠ 아 진짜 억울해요..ㅠㅜ ...
- 스누피, 50년 전에 달착륙을 하다!기사 l20191203
- 2 1 0 발사! 드드드드쿠쿠쿠쿠쿠쿵 퓡 퓌잉 쾅 휘잉! 스누피는 달로 출발했습니다. 아폴로 10호는 대기를 벗어났습니다. 1969년 9월 18일. 아폴로 10호가 발사되었습니다. 아폴로 10호의 사령선의 이름은 찰리 브라운, 달착륙선은 스누피. 안녕하십니까. 저는 김준엽 기자입니다. 저는 50년 전 발사된 아폴로 10호의 콜사인 ...
- [UN 청소년 환경 총회 2019] 우리는 MUNer, 총회는 끝났어도 실천은 이제 시작. 나의 작은 실천으로 세상을 바꾸자!기사 l20191125
- 있습니다. Q. 대기업이 자연을 과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럼 UN이 이러한 기업들에게 취할 수 있는 행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A. 대기업이라고 말하기 보다는 사람들이 자연을 과하게 사용하고 있다란 표현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기업이 물론 많은 물건을 만들고 많은 에너지를 씁니다. 하지만 기업이 물건을 그렇게 왜 만들까요? ...
- 4차산업혁명을 경험하며, 2019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을 다녀오다.기사 l20191027
- 같이 어린이과학동아 기자 '출동!기자단'으로 '2019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 참석할 수 있게 되었다. 평일이라 다행히 주말보다는 대기 줄이 길지 않아, 좀 더 체험을 많이 할 수 있어 좋았다. 엑스포 광장에 도착해서 주변을 둘러보니, 다양한 체험프로그램들이 가득했다. 그 중 '대전영재페스티벌' 부스에는 익숙한 학교들이 눈에 들어왔다. 대전 ...
- 캐나다 탐험대(오로라) 여행기-2기사 l20191007
- 간다고 하니 설레어서 쉽게 잠에 들지 못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아주 뜨거운 대전자입자(플라즈마)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 분자와 반응하여 빛을 내는 지구와의 상호작용 현상이다. 오로라는 구름이 많이 끼면 볼 수 없기에 하늘이 도와주어야만 볼 수 있는 귀한 신기한 현상이다. 오로라는 볼 수 있는 지역이 한정되어 있기 ...
- 과학동아천문대 우주 과학 실험 교실 - 과학과 함께하는 신비한 달 탐험!!기사 l20190814
- 있는 소행성과 표면이 부딪힐 때 생기는 구덩이였습니다. 크레이터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있으며, 지구와 달리 달은 대기가 없기 때문에 크레이터가 많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사진으로 보았을 때는 비올 때 고이는 물웅덩이처럼 보였는데 선생님께서 달의 표면을 확대해 주시니 크레이터가 얼마나 크고 넓은지 알 수 있었고, 링처럼 작은 크레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