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양
정수
정액
뉴스
"
정량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상청 단기예보 3시간에서 1시간 단위로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제공하고 있다. 향후 단기예보는 9시부터 매시간 예보된다. 강수랑 예보는 1시간 단위의
정량
적 값으로 제공한다. 기상청은 “출퇴근 등 특정 시간에 비가 오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영농활동 등 야외작업 준비에 누적강수량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간당 30mm 이상 매우 강한 비도 ‘3 ... ...
얼굴사진으로 고혈압 환자 가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망진에서 관찰하는 얼굴의 특성들을 기준으로
정량
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얼굴의 부위별 색상과 형태를 추출했다. 한의학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정상인과 고혈압 환자가 얼굴색과 코 모양 등 주요 특징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얼굴의 차이점을 활용하면 얼굴 사진만으로 ... ...
[과기원은 지금] 홍승범 KAIST 교수팀, 이온 움직임 나노미터 단위 영상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현미경(ESM)을 이용해 리튬이온전지 소재 내부의 이온 이동 특성을 나노미터 수준에서
정량
적으로 측정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어플라이드 에너지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10일 공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13일 상가라쥬 샨무감 에너지공학전공 교수팀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페로브스카이트 물질 고유 특성
정량
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태양전지 물질 페로브스카이트를 수소이온(양성자)이 얼마나 빠르게 통과하는지를
정량
지표로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이온과 전자 등 여러 입자가 섞인 물질 내에서 수소 이온만 골라 추적할 수 있는 기법을 활용했다. 연구진은 수소를 더 무거운 동위원소인 중수소로 바꾼 뒤 이를 ... ...
고출력 레이저로 거대 우주 자기장의 씨앗을 뿌리다
과학동아
l
2021.04.08
결과를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조건에서 자기장이 증폭되는 속도를
정량
화했다. 그 결과 자기장이 증폭되는 속도는 지난 반세기 동안 예측돼 온 속도보다 빨랐다. 플라스마 난류가 예상보다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한다는 뜻이다. 아치 보트 옥스퍼드대 물리학부 연구원은 ... ...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분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용기에 수소와 중수소를 같이 주입해 이 소재에 얼마나 많은 중수소가 흡착되는지를
정량
적으로 분석하고 확산 속도 차이를 계산했다. 그 결과 영하 254도보다 60도 가량 높은 영하 196도에서 수소와 중수소의 확산 속도 차이가 3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하 196도는 액체질소 온도로, 고가의 ... ...
가장 위험한 인수공통 바이러스는 라사열 바이러스…코로나19는 2위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연구진은 스필오버 바이러스 887개의 위험도를
정량
적으로 평가한 결과 라사열 바이러스가 91.18415로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스필오버 사이트(spillover.global)를 통해 스필오버 바이러스 887개의 ... ...
[랩큐멘터리]데이터와 웨어러블 센서가 이끄는 축구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4.03
수집해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가지고 선수 맞춤형 전술을 짜거나 선수의 기량을
정량
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제 K리그1(1부 리그) 팀들도 대부분 EPTS를 사용할 정도로 축구팀에 빠져서는 안될 장치가 됐다. 정윤영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플렉서블 반도체 연구실은 대한축구협회와 함께 ... ...
한국인 주도 日연구진 “코로나 바이러스, 이틀 만에 체내 배출량 최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설명했다. 실제로 그가 소속된 규슈대 생명과학부 수리생물학실험실은 세계적으로
정량
분석을 통한 수리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는 몇 안 되는 그룹 중 하나다. 지난해 김 연구조교수가 이런 기법으로 발표한 논문만 4편이다. 인간의 유전체에서 개인의 유전적 차이를 결정하는 단일염기다형성(SNP ... ...
가상현실 체험 때 느끼는 멀미 뇌파로 측정한다
연합뉴스
l
2021.03.18
사이버 멀미를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동안 변화하는 뇌의 특정 영역과 뇌파를 측정해
정량
적으로 분석해 냈다. 의료·게임·스포츠·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는 체험 시 고글형(HMD) 기기를 착용해야 하는데, 몰입도가 올라가면서 사이버 멀미 증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