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스페셜
"
기억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하나를 유전자 편집 수단으로 응용한 것이다. 박테리아가 침입한 바이러스의 DNA 조각을
기억
하고 있다가 같은 바이러스에 다시 감염됐을 때 빠르게 게놈의 해당 부위를 절단하는 방어체계다. 한편 1978년 노벨생리의학상 업적인 제한효소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치인들이 TV토론에 망해도 괜찮은 이유
2020.10.10
쌩뚱맞은 답변을 했다'라는 사실도 잘 눈치채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애써 질문을
기억
하고 답변을 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신경쓰거나 메모하면서 듣게 해야 비로소 이상함을 눈치채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에서 왠만한 얼버무리기나 말바꾸기는 엄청 집중하거나 적으면서 보지 않으면 눈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해로운 바이러스라고 인식해서 바이러스 DNA를 잘라 버린다. 이것이 세균이 바이러스를
기억
하고 제거하는 메커니즘이다. 하지만, 캐스9과 크리스퍼RNA를 이용하여 DNA를 우리가 원하는대로 자르는 아이디어나 기술은 늦게 발견됐다. 2011년 당시엔 무명이었던 샤르팡티에 교수는 캐스9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과학의 진보야말로 우리가 가장 가슴에 담아두어야 할 정신임을
기억
해야 한다.” 토머스 헌트 모건 DNA의 염기서열이 디지털 정보라는 사실의 발견 이후, 분자생물학은 물리학에서 넘어온 엄밀한 실험방법론과 또한 실제로 물리학에서 생물학으로 이주한 물리학자들과의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사실을 밝혔다.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세균이 그 서열 일부를 게놈에 포함시켜
기억
하다 나중에 다시 침입하면 자르는 방법으로 면역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다우드나 교수와 샤르팡티에 교수, 식스니스 교수가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밝힌 Cas9은 바로 이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하지만 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우리은하에 초대질량 블랙홀의 증거를 찾았다고 싱글벙글하던 겐첼 교수의 모습이
기억
난다. 겐첼 교수 그룹은 칠레의 남유럽공동 천문대의 구경 3.6미터 NTT 망원경을 활용해 연구했다. 2020 노벨물리학사 수상 직후 라인하르트 겐첼(68)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장이 환하게 웃고 있다. ... ...
"코로나19 회복 후 '브레인 포그', PTSD일 수도"
연합뉴스
l
2020.10.07
호흡(ventilation)이나 기관 내 삽관(intubation)에 의한 호흡 같은 침습적 치료에 대한 무서운
기억
이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PTSD는 심리치료(psychotherapy)와 약물치료 등 여러 가지 치료법이 있다면서 이러한 치료를 통해 증상이 진정된다면 코로나19가 뇌에 남기는 후유증의 정체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발견부터 정복까지 드라마틱한 C형 간염 극복기
2020.10.06
2개월마다 함께 모여 토의하던 미팅 당시 올터 박사 앞에서 긴장하며 데이터를 발표했던
기억
이 있다. 또 전 세계 C형 간염 바이러스 연구자들이 1년마다 함께 모이는 ‘HCV 미팅’을 통해 호턴 박사와도 친분을 쌓게 됐다. 개인적인 소회이지만, 필자를 의과학자로 키우고 길러준 C형 간염 바이러스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유리하다. 영국 옥스퍼드 나노포어사가 개발한 해독 장치 ‘미니온’은 크기가 보조
기억
매체(USB) 정도에 불과하다. 미니온은 크기가 작아 바이러스를 현장에서 바로 분석할 때 유리하다. 실제로 미니온은 아프리카의 에볼라바이러스나 남미의 지카바이러스 유행 때 역학조사 용으로 사용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관련 연구의 현재를 짚었다. 신경 퇴화는 노년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잔인한 증상이며
기억
력과 인지 능력 상실을 초래한다. 이같은 신경 퇴화의 생물학적 원인을 밝히는 것은 알츠하이머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을 늦추거나 치료법을 개발하는 노력의 핵심이다. 스텔라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