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스페셜
"
업적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간섭과 같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 하위헌스의 파동 이론은 광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
으로 남았다. - Arne Nordmann 제공 진공의 부활 마이컬슨과 몰리의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가설인 에테르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 우주공간이 빛의 매질인 에테르로 가득 차 있다면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속한 사회의 관습에 따라 차이가 크다. 이번 간통법 폐지를 계기로 과학자의 삶과
업적
에 영향을 준 간통사건 몇 가지를 소개한다. 간통으로 가장 ‘덕을 본’ 과학자는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아닐까. 양자역학을 배우는 사람들이 처음 접하는 식인 그 유명한 슈뢰딩거 ... ...
[기술이 바꾼 미래] 인류의 공동 재산 뢴트겐선
KOITA
l
2015.01.05
끌어내는 ‘레나르트의 창’의 제작에 성공하여, 음극선 연구에 신기원을 열었고 이
업적
으로 1905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가난하지만 명예롭게 죽다 뢴트겐은 X선의 발견으로 최초의 노벨상을 수상하는 등 많은 명예를 얻었으나 바이에른 섭정(攝政) 정부가 제의한 귀족을 뜻하는 ‘폰(von)’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부고에서 펄 교수가 명예나 지위, 존경을 결코 추구하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그는 자신의
업적
을 설명할 때 늘 이렇게 말을 시작했다고 한다. “난 운이 좋았는데…” 11. 앨리슨 두프 (1954 ~ 2014.10.24) 새 노래의 신경과학을 연구한 정신과 의사 앨리슨 두프 - UCSF 제공 한 때는 효율적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무거운 사슬(H)과 가벼운 사슬(L)로 이루어진 ‘Y’자 구조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업적
으로 항체의 항원결합자리 구조를 밝힌 로드니 포터와 공동으로 197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면역학을 연구하면서 ‘나와 너’라는 주제에 심취한 에델만은 연구의 지평을 넓혀 다세포생물에서 세포 ... ...
스티븐 호킹, 그리고 ‘만물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
과학동아
l
2014.12.12
스티븐 호킹 박사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 ‘사랑에 대한 모든 것’의 한 장면. 파티에서 만난 제인 와일드와 사랑에 빠진 호킹 박사는 1965년 그녀와 결혼했고 이듬해 ‘특이점 이론 ... 양자역학이 양립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던졌다는 점은 중요한
업적
”이라고 말했다 ... ...
[이달의 역사] 입 밖으로 나온 소리, 녹음 기술로 주워 담는다
KISTI
l
2014.12.08
해서 ‘토킹 머신(talking machine)’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이처럼 에디슨은 자신의
업적
을 대중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했고 수많은 발명품에 일일이 특허를 신청할 만큼 주도면밀했다. 덕분에 역사를 바꿔놓은 인물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그렇다면 에디슨이 만든 축음기는 어떤 원리로 작동했을까. ... ...
[기술이 바꾼 미래] 윌리엄 톰슨-대륙을 단일 공간으로 묶은 해저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예보장치, 여러 도량형 기기들도 모두 그의 발명품들이다. 톰슨은 과학자로서 불후의
업적
을 쌓아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과학자 중의 한 명으로 꼽힌다. 그런데 그가 특출 난 점은 발명에 그치지 않고 족족 실용화에 성공하여 사업가로서의 재능도 발휘했다는 점이다. 톰슨이 대학교 연구소에만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간의 경쟁이 가장 치열한 곳은 3개의 과학상이다. 경제학상, 문학상, 평화상은 개인의
업적
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물리학상, 생리·의학상, 화학상은 조직 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쏟아 부은 연구개발비의 결과물일 때가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기대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지난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찾고 있다. 기초과학 분야도 빼놓을 수 없다. 산술대수 기하학 분야에서 21세기 최고의
업적
을 이뤄낸 김민형 교수가 미국과 영국 유수 대학의 교수직을 거친 후 현재 옥스퍼드대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1970년에 이미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tRNA의 3차원 구조를 밝혀낸 김성호 UC버클리 교수는 1988년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