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하지만 호킹 박사의 이 같은 주장은 그간의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사이의 어긋난
지점
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주 뒤 실시한 테스트에서 이에 대한 감정상태를 훨씬 약하게 평가했다. 즉 막대에 표시한
지점
이 중앙(중성 감정)에 더 가까워졌다. 다음으로 얼굴을 보고 ‘슬픔’과 ‘행복함’ 가운데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테스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즉 명백하게 슬프거나 ... ...
완벽주의자일수록 일을 뒤로 미룬다?!
2016.04.05
좋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완벽을 추구하다가 아예 아무것도 안 해버리기도 한다. 이
지점
에서 완벽주의가 미루기와 관련을 보인다. 어떤 일을 완벽하게 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기 전까지 일을 시작도 안 하기도 하고, 때로는 조금 더 좋은 결과물을 내겠다며 일에 지나치게 집착해서 기한을 ... ...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게 이기려면…
과학동아
l
2016.02.26
바둑돌이 놓인 전체 모양을 파악한 뒤 자신에게 유리한
지점
과 상대방에게 불리한
지점
을 찾는다. 여기에는 딥러닝이 사용된다. 딥러닝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인간의 뇌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모방한다. 딥러닝은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빛조차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어떤 질량에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
지점
을 ‘슈바르츠실트 반지름’(구형이라고 했을 때)이라고 부른다. 태양의 경우 이 값은 약 1.5km이고 지구는 0.5cm 정도다. 아인슈타인은 이 소식을 듣고 수학적으로는 흥미로운 생각이지만 물리적으로는, 즉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육지라고는 보이지 않는 망망대해에서 그 놀라운 이야기를, 그것도 에식스호의 조난
지점
과 같은 위도에서 읽는다는 것은 나에게 놀라운 영향을 끼쳤다.” 물론 ‘모비딕’에서 모비딕에게 다리 하나를 잃은 피쿼드호의 선장 에이해브의 모델은 폴라드가 아니라 체이스이다. ※ 필자소개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공식 관측 기준으로 영하 89.6℃를 기록했고, 일본 기지 ‘돔 후지’가 있는 해발 3779m
지점
은 영하 94.7℃로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1월의 평균 기온이 0.5℃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이같이 어마어마한 영하의 온도를 체감하기 힘들게 만든다. 아이스크림 공장의 냉동창고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
IBS
l
2015.11.17
흐르는 호수에 종이배를 띄웠을 때 1시간 후에 정확하게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지점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주기점의 개수가 호수의 상동성의 개수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오용근 단장은 포스트닥 시절부터 지금까지 계속 플로어 상동성을 사교위상수학의 다른 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 ...
생명의 호수, 교훈의 호수 시화호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문제를 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시화호에 대한 환경 조사 시기와 항목, 조사
지점
이 기관에 따라 달라서 자료를 공유 및 활용하고 비교분석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바로 ‘시화호 유역 통합환경모니터링 체계‘이며 시화호관리위원회가 이 부분도 관할하고 있다. 사진6. 지난 10월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경우에는 포기한 것이 바로 해상도였다. 그 결과 돌고래호 실종자들의 표류
지점
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 것이다. “지금 2km 수준인 해상도를 300m로 높이려면 엄청나게 많은 연산이 필요해요. 산술적으로 보면 약 7배 정도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니 계산량을 7배 늘리면 될 것 같지만 저 해상도는 길이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