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월
일개월
계월
현토
글월
문장
한달
d라이브러리
"
달
"(으)로 총 5,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하루 당분 섭취량은 평균 130g이다. 이 중 탄산음료로부터 섭취하는 양은 27g으로 20%에
달
한다. 이 때문에 미국 농무성(USDA)은 2005년도 영양 기준에 “탄산음료는 물보다 열량이 많아 비만과 관계가 있으므로 제한해야한다”는 항목을 넣었다.정 교수 역시 “국내에 아직까지 당류의 1일 권장기준량이 ... ...
나도 이젠 애니메이션 감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나오는 빛이 우리 눈의 망막에 도
달
하기 때문이다. 잔상이란 이렇게 눈의 망막에 도
달
한 빛의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시각기관에 어떤 흥분상태가 계속돼 시각작용이 잠시 남는 현상을 말한다. 자동차 바퀴나 선풍기 날개가 돌아갈 때 잔상이 나타나는 것도 이 때문이다.한편 슬릿 없이 연속그림을 ... ...
백두산만한 소행성 지구 스쳐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폭 2.4km의 소행성이 이날 지구에서 1백60만km 떨어져 스쳐 지나갔다고 전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4배 정도로 소행성이 지구에 1백60만km까지 근접한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1989년 발견된 이 소행성은 2개의 거대한 암석 덩어리가 가느다란 목으로 연결된 ‘아령’ 형태로 독특한 자전 방식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착상시킨다. 그런 다음 인공태반으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면 엄마 뱃속에서 굳이 10
달
씩 보내지 않고도 아기가 태어날 수 있을 거라는…. 다소 엉뚱한 질문에 이 교수는 진지한 답변을 내놓는다.“이 시스템도 결국 인공장기에요. 넓게 보면 최근 생명과학 분야의 화두인 줄기세포와도 무관하지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접근하는 것이다. 12월 10일에는 두 행성의 옆에
달
이 위치한다. 이 무렵 화성의 밝기는 1.7등급으로 다소 어둡다. 하지만 화성 특유의 붉은 빛이 금성의 노란빛과 대조를 이루며 매우 아름다운 광경을 연출한다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더욱 많은 아이디어가 약물전
달
시스템에 등장할 것이다. 그 결과 언젠가는 꿈의 약물전
달
시스템인 나노로봇이 실현될 것이고, 이는 질병치료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도전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노력하길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2차례 출간되며 동아시아 의학의 교류에 크게 기여했다. 동의보감은 기존 의서와는
달
리 대분류 방법을 통해 전체 의학 체계를 새롭게 분류했다.신 교수는 “동의보감은 17세기 조선의 생명관, 신체관을 잘 확립한 사상서로 높이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허준은 명분과 의리를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9천9백km, 원지점 13만9천km의 타원궤도로 지구를 공전하고 있다. 원지점일 때는 지구와
달
까지 거리의 3분의 1에 이른다. 찬드라는 앞으로 5년간 더 궤도에 머물면서 블랙홀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물론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등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고 있는 우주의 신비를 파헤칠 예정이다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복잡해 약물로 합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끈적끈적해서 보관용기나 실험기구에 잘
달
라붙기 때문에 다루기도 쉽지 않다.필자의 연구팀은 안지오포이에틴 전체 분자구조 중 앞쪽의 불안정한 부분이 이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렇다고 이 부분을 잘라내면 아예 혈관을 만들지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왜 그런지 도대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어떤 문제는 한
달
넘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럴 때는 잠도 제대로 오지 않았다. 김정엽 씨는 “그래도 로봇이 처음 걸었을 때 희열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 맛에 밤새 연구하는 것이 아닐까.인간 닮은 로봇은 꿈을 준다사실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