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달리 P파의 진폭이 S파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인공폭발은 폭파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에너지
가 퍼진다. 즉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P파의 진폭이 S파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폭발실험 장소는 어디인가?핵실험인지 확인하기 전에 먼저 진앙을 찾는데 이목이 집중됐다. 만약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중력과 반대되는 성질을 갖고 있어 우주를 가속 팽창시킬 것으로 추정되는 암흑
에너지
나,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고 오직 중력 상호작용만 하는 암흑물질은 여전히 미스터리다.왜 위성을 띄울까우주배경복사를 지상에서 관측할 수는 없을까. 가능하지만 인공위성을 띄우는 편이 훨씬 ... ...
식초, 과연 몸에 좋은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쓰이는 물질도 아세트산이 아닌 활성아세트산이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생체 내의
에너지
대사를 연구했을뿐 ‘식초연구’를 하지 않았다. 주장에 힘을 싣기 위해 사용한 ‘틀린 과학’이 일파만파로 퍼진 것이다.식초가 유익하다 한들 모든 사람에게 유익한 것은 아니며, 만병통치약처럼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안 빠지는 이유?밥을 굶으면 신체는 칼로리 소모를 줄이고 지방을 아껴 쓴다. 부족한
에너지
는 근육의 단백질을 분해해 이용한다. 근육이 줄어들면 기초대사량이 줄어든다. 단식을 해서 체중을 줄였다가 다시 원래 먹던 양만큼 음식을 먹으면 이미 기초대사량이 줄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 ...
빛을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빛이란 무엇인가? 자외선은 무엇일까? 빛은 모든
에너지
의 근원이며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게 해 준다. 또 빛은 파장에 따라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과 보이지 않는 자외선, 적외선, 엑스선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번 단원에서는 세상에 가득한 빛을 느껴 보자.빛은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운동은 병진(竝進)뿐이며 회전 및 진동은 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단원자기체의
에너지
나 열용량은 이들의 내부자유도와 관계가 없다 대표적인 단원자기체는 He, Ne 등의 비활성기체이다 지도투영법(投影法)의 하나 한 개의 위선(韓線)을 따라 지구의(地球儀)에 접하도록 원뿔을 씌운 후 시점(視點)을 ... ...
소음은 떨어지는 폭탄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웅덩이 안에는 소용돌이가 생기죠.”문제의 실마리는 네모 구덩이소용돌이는 운동
에너지
를 갖고 있는 공기 덩어리가 회전하면서 만들어진다. 소용돌이가 어떤 물체와 충돌하면 회전운동을 방해받는다. 그러면 소용돌이에 부딪힌 물체 표면은 진동하면서 음파를 발생시킨다.“소용돌이가 뒤쪽 ... ...
이휘소 박사는 '팬티가 썩은 사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이 박사가 핵무기 설계에 관여했다는 언급만 있을 뿐이다.저자는 “스승의 전공은 고
에너지
소립자물리학”이라며 “핵무기 개발은 공학적인 문제이지 과학적인 문제가 아니다”고 일갈한다. 핵무기 설계도는 1970년대 미국 학부생의 졸업논문에 실릴 정도로 공개된 정보라고 설명했다. 만약 ... ...
물질+반물질=물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반응해 프로토늄을 만든 것으로 보고 있다.프로토늄은 양성자와 반양성자가 만나
에너지
로 소멸되기 전, 일정한 거리를 두고 궤도를 돌며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물질상태로 존재한다. 이 물질은 그동안 격렬한 소립자의 충돌에 의해서만 만들어진다고 알려졌다.리찌니 교수는 “새로 발견된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주장이다. 이 이론으로 그는 노벨상을 받았다.하지만 나중에 베테 박사는 이와 달리 태양
에너지
가 양성자-중수소-헬륨으로 변하는 과정(pp순환)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는 이 사실을 직접 연구해 밝혔고 잘못된 처음 주장을 수정했다. 80세가 넘어서도 블랙홀에 이르는 과정을 밝히고 ... ...
이전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