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3년 가장 '쿨'한 발명품들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수륙양용 자동차영국 깁스 아쿠아다사가 개발한 것으로 지상에서는 일반 자동차로 달리다가 물에 들어갈 때 버튼을 누르면 12초만에 바퀴가 차체 안으로 들어가면서 보트 모양으로 변한다. 물에서는 제트 추진으로 달리며 육지 시속 160km, 수상 시속 48km를 자랑한다.25만달러 _ www.aquada.co.uk자동 주차 ...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과학동아 l2003년 12호
- “소나무 하나도 그냥 지나쳐볼 일이 아니다. 자연에 흐드러지게 숨어 있는 비밀이 곧 자연 법칙인 것이니 하는 말이다. … 늘 푸름을 자랑하는 만취(晩翠)의 소나무에는 영양소와 함께 우리의 넋이 들어 있고, 조상의 혼백이 스며 있다.” (중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p.205208)문학가의 작품처럼 유려 ...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여유로워야 할 추석에 태풍 ‘매미’가 남긴 상처는 너무도 깊었다. 주저앉은 대형 크레인, 나뒹굴고 뒤섞인 자동차, 배가 뭍으로 올라와 민가를 덮친 모습은 마치 ‘트위스터’나 ‘스피드 2’ 같은 영화의 한 장면을 연상할 정도로, 매미의 엄청난 위력을 실감하게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순간 최대 ...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한의학의 다양한 치료 중 핵심이 되는 것은 침술이다. 병증에 따라 특별한 신체 부위에 침이나 뜸을 놓으면 치료를 요하는 장기에 효과가 나타난다. 이때 뜸이나 침이 놓이는 자리를‘경혈’이라고 하고, 치료 효과가 장기에 나타나도록 침의 자극을 전달하는 경로를‘경락’이라고 한다.경혈∙경 ...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진 축구공” 주장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대폭발 이후 중심에서 하염없이 영원의 시간속으로 멀어져 간다는 우주의 끝. 인간의 두뇌로는 감히 그 넓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그렇게 우주는 무한한 공간일까?이 질문에 대해 오랫동안 사람들은 주저없이 ‘그렇다’고 답해왔다. 그러나 최근 이같은 고정관념을 뒤흔드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모든 사람들의 몸 안에는 약 1kg의 미생물이 항상 같이 살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세균(박테리아)이고 그 외에도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생물 등이 살고 있다. 무게 단위로 생각하면 대장에 가장 많은 세균이 살고 있고 소장은 물론 여성의 질내에도 세균들이 득실거린다. 수분을 빼면 분변의 약 절반 ...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소개팅이나 미팅에 나가서 가장 많이 하는 거짓말은?” 1만9백40명 중 1천3백53명이 “오늘 정말 즐거웠어요”라고 대답했다. 최근 출연자들이 특정 질문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맞추는 토크쇼 프로그램이 인기다. 이 프로그램의 제작진은 메신저를 이용해 1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 ...
- 근대화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천리안'이라는 비디오텍스 시스팀을 개발, 한글화작업의 마무리를 하고 있다식물체의 일부인 가지나 잎을 어미나무에서 잘라내어 완전한 개체로 생육시키는 일 꺾꽂이2개의 별이 서로 만유인력으로 끌어당기면서 공통의 중심을 공전 하는 것 태양보다 질량이 큰 별가운데 태양처럼 단독으로 ...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을 가졌던 인간의 도전은 벌써 2백년이 넘게 계속되고 있다. 1903년 12월 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비행체의 동력 비행에 처음 성공한 뒤 하늘로 향한 인간의 도전은 ‘더 높이, 더 멀리 그리고 더 빠르게’날아 오르는 것이었다. 지난 한세기 사이에 발명된 초음속 제트기나 ...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과학동아 l2003년 11호
- 박성래끼파파 스머프. 한국 외국어대 사학과 박성래 교수에게 제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늘 만면에 인자한 웃음을 가득 담은 표정으로 말하는 모습이 닮아서다. 그리고 다소 엉뚱해보이는 농담을 잘 하기에 더욱 그렇다.한 예로 박 교수는 ‘박성래 달력’을 만들자고 공공연하게 제안한다. 그는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