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석"(으)로 총 8,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수천 명의 유전 정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최소 100만 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SAS의 ‘엔터프라이즈 마이너’, 오픈 소스 기반의 ‘R’을 활용할 수 있다.SW는 1% 수준의 유전자 돌연변이도 정확하게 찾아낸다. 그래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 ...
- [참여] 통계의 눈으로 세상을 읽다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지도교사를 맡았던 김부연 숙명여중 수학교사는 “통계는 과거와 현재를 정리하고 분석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구”라며, “수상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통계를 제대로 활용하고, 합리적인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찾으면서 통계의 재미를 느껴 보길 추천한다”고 말했다 ... ...
- 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끝까지 길게 발달한 섬유형의 원시깃털. 깃털에서 추출한 화석화된 멜라닌 색소체를 분석한 결과 적갈색 색소가 발견됐다.랴오닝 성 지방에서는 시노사우롭테릭스 이후에도 수많은 깃털공룡들이 발굴됐다. 섬유형 깃털부터 방사성으로 벌어진 깃털, 좌우 대칭 깃털, 대칭 비행 깃털, 비대칭 비행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파킨슨병은 손이 떨리고 몸이 둔해지는 자각증상이 나타날 때면 이미 뇌세포의 70~80%가 손상돼 회복이 어려운 무서운 병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파킨슨병을 ... 앱을 실행해 엄지와 검지로 20초간 화면을 번갈아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 그 패턴을 분석해 파킨슨병 발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
- [과학뉴스] 현생 인류가 턱 가진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치과교정학과, 인류학과 공동 연구팀은 씹을 때 턱뼈가 받는 힘을 연령대별로 분석해, 턱의 길이가 얼굴뼈를 지지하는 것과 관련이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연구팀은 “인류의 머리가 커지고 얼굴 크기가 작아지면서 아래쪽 뼈가 턱으로 돌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 ...
- [과학뉴스] 모기가 ‘한 놈만’ 무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감염된 적혈구 세포가 내뿜는 기체, 즉 향을 분석했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감염된 세포에서는 정상 세포와 달리 리모넨(limonene)과 피나네디올(pinanediol) 성분이 검출됐다. 리모넨은 레몬 향, 피나네디올은 소나무 향을 내는 물질로 모두 모기가 좋아하는 냄새다. 오돔 교수는 ...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일영 번역이 더 자연스러운 것도 일영 데이터가 더 많기 때문이다. 규칙기반은 형태소를 분석해 목적 언어의 문법대로 다시 조합하는 방식이다. 예컨대, “나는 학교에 간다”는 문장을 나는/학교/에/간다/로 나눠 I/school/to/go로 바꾼 뒤, 영문법에 따라 “I go to school”로 제시하는 방식이다. 엄격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노래 짓고 그림 그리는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눈으로 그림을 그리는 영상을 3월 12일 유튜브에 공개했다. 눈에 쏴서 반사되는 빛을 분석해 안구 운동을 파악하는 소프트웨어가 적용됐다. 덕분에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예술작품이 탄생했다. 소프트웨어가 화가의 손가락과 붓이 되어준 것이다.소프트웨어를 더 이상 도구로만 볼 수 ... ...
-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옷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지난 2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넷엑스플로 어워드’ 시상식에서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장치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어요. ... 이 기술 외에도 스마트젓가락(중국)과 에볼라 확산방지 앱(나이지리아), 초소형 성분분석기(이스라엘) 등이 상을 받았답니다 ... ...
- 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대표하는 48종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해 방대한 진화계통도를 다시 썼다. 유전체 비교분석 연구로는 가장 큰 규모이며 기간은 총 4년이 걸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새는 왜 강한가Part 1. 처절한 생명력 : 대멸종에서 살아 돌아오다Bridge. ‘새의 왕국’ 불러온 진화 빅뱅Part 2. 작지만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