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깜빡 잊기쉬운 컴퓨터 액세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다.최근에는 얇은
편
광 필름을 유리나 아크릴 판으로 입혀 화면의 퍼짐현상을 제거한
편
광 보안기와 멀티코팅 보안기가 개발돼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컬러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퍼짐으로 해상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하는데 멀티코팅 보안기를 사용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헤모글로빈 추출물은 물에 타 사용하게 돼 있어 기존의 인공혈액인 탄불화물보다 훨씬 간
편
하게 쓸 수 있다는 것이 개발자의 자랑이다. 또 성분이 천연혈액과 유사하고 수혈시의 'ABO Rh 컴플렉스'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고 있다. 현재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이 진행중인 이 새 ... ...
환경모니터링으로 주목받는 중금속의 표본실 새 깃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통해 현재 그 지역의 환경오염이 생체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손쉽게 알아낼 수 있다.한
편
깃털을 씻어낸 물 속에는 깃털에 붙어 있던 여러가지 대기오염 물질들이 들어 있기 때문에 그 물을 분석해 보면 그 새가 살고 있는 지역의 대기오염 정도를 간접적으로 알아 볼 수도 있다.이밖에도 박물관에 ... ...
좁혀지는 인간과 침팬지의 사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리고 물론 다른 생명체들도)를 둔채, 반대로 침팬지와 인간이 함께 그 만의 다른
편
에 놓여있음을 믿게 됐다.그러나 침팬지가 우리의 유전인자와 그토록 유사하다면 왜 서로는 그리도 다를까? 다름아니라, 인간의 전체 유전정보량은 두꺼운 백과사전 1천여권과 같다. 침팬지가 인간과 1%만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놓여 있다. NGC2403은 8.4등급의 밝기와 가로가 17.8′, 세로가 11.0′의 크기를 가진다. 꽤 큰
편
이다. 그러나 이 은하는 외따로 위치하기 때문에 찾기가 쉽지 않다. 10배의 쌍안경으로는 작고 밝은 핵주위에서 타원형의 헤일로(halo, 은하무리)를 느낄 수 있다.하늘에서 가장 큰 정면모습(face-on)은하가 M10 ... ...
칩차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다. 화폐를 사용하고칩차족이 거주했던 지역은 호수를 끼고 있어 토지는 비옥한
편
이었다. 태양신을 숭배하는 엄한 법률이 제정돼 있었고 공식적으로 세금을 부과하고 있었기 때문에 칩차족의 산업은 자연 농업 위주였다. 따라서 그들은 대단한 수준의 농업발전을 이루었고 풍요로운 수확을 할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실용화될 시점에는 '구식'이 되는 경우가 적지않다는 것이다. 변화하는 국내연구환경한
편
80년 중반이후 국내대학원의 변화도 유학을 선택하기 앞서 살펴봄직 하다.가시적인 특징은 대학원생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서울대 공대를 예로 보면 80년에서 90년사이 석사는 4배, 박사는 17배로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후 대우 인정 문제 남아한
편
미림전산여고의 교사진은 현재 전자계산학과(8학급)로만
편
성된 신입생들이 2학년이 되는 92년까지는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취미에 따라 다양한 직업을 모색할 수 있도록 특별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다. 컴퓨터 그래픽이나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개발 등이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닦이는 것만 봐도 돼지비계나 고기가 납독을 제거하는 것으로 믿어도 좋을 것 같다.한
편
광산노동자들은 진폐증을 앓는 경우가 많다. 갱내외에서 나오는 탄가루가 호흡기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이 치명적인 직업병을 피하기 위해 그들도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다. 그것도 비곗살이 있는 삼겹살을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그 점은 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상하느냐에 따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반론을
편
다.한박사는 이어서 "영재는 그냥 두어도 잘 자란다는 잘못된 통념이 있어요. 단순히 학교성적만을 놓고 말한다면 그럴 듯하게 들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학영재의 창의적 잠재력을 최대로 개발해준다는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