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뉴스
"
지구
"(으)로 총 7,08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난달은 관측사상 가장 더운 5월..."여름 사상 최악 무더위 대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6.08
유럽연합(EU)에 기후정보를 제공하는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서비스(C3S)는 지난달 전
지구
평균 온도가 1981년부터 2010년 사이 5월 평균 온도보다 0.63도 높았다고 이달 5일 밝혔다. 엘니뇨로 인해 역사상 가장 더웠던 5월인 2016년보다도 0.05도 높은 기록이다. 지역별로 보면 시베리아가 평균 ... ...
[주말N수학]정이십면체 행성에서 누구도 마주치지 않고 달리는 방법
수학동아
l
2020.06.06
거치지 않고 자기 집까지 직선으로 달릴수 있는 경로가 있는지 구하라.” 이 문제는
지구
에서 ‘사교성 없는 조거’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오랫동안 수학자를 괴롭혀 왔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정다면체의 어느 한 꼭짓점 에서 출발해 다른 어떤 꼭짓점도 지나지 않고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 ...
고대 화성도 토성처럼 고리 가져…달 포보스 고리 '출신'
연합뉴스
l
2020.06.05
JAXA)가 2024년 포보스에 우주선을 보내 토양과 암석 샘플을 채취해
지구
로 가져오면 검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추크 박사는 포보스 현장 탐사가 화성의 달이 가진 과거에 관해 확고한 답을 줄 것으로 기대하면서 "이론 계산 전문가로 계산의 결과를 내놓는 것만으로도 좋은데 현실 세계에서 검증을 ... ...
[영상+]땅굴 파고 자원 찾는 두더지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4
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어렵다. 연구팀은 자기장 센서가 포함된 관성항법 센서를 탑재해
지구
자기장 데이터 변화를 통해 로봇 위치를 인식하게 했다. 몰봇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의 공인인증 평가를 통해 성능을 검증했다. 굴을 파낼 때 각도를 뜻하는 최대 굴진각은 100피트(약 30m)당 38도로 ... ...
[과학게시판] ETRI, AI 합성 코로나19 지침 수화 영상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3일 신수진
지구
‧환경공학부 학생이 학부 4년차에 캐나다 유엔대학 물환경건강연구소(UNU-INWEH)에서 수행한 물과 식량 안보, 이주의 관련성 연구 결과를 담은 책이 학술출판사 네이처스프링거에서 발간했다고 밝혔다. 신 씨는 ‘GIST ... ...
'작은 것이 맵다'…구경 6㎝ 망원경으로 41광년 밖 행성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3
소형위성 활용 후속 임무로 아스테리아 두 배 크기의 위성 6대로 태양과 같은 별을 도는
지구
크기의 외계행성을 찾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
시민과학자 도움으로 원시행성 원반 가진 갈색왜성 찾아
연합뉴스
l
2020.06.03
지 약 370만년된 것으로 주변에 행성을 형성할 수 있는 원시행성 원반을 갖고 있다.
지구
에서는 약 102 파섹(332광년) 떨어진 곳에 있지만 우주 단위에서는 "이웃"에 포함된다고 한다. 이 정도 거리는 앞으로 배치될 차세대 고성능 망원경을 통해 원시행성 원반의 상태나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행성에 ... ...
열대 태평양 강수량 증가 규명 예상욱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결정하는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통해 전
지구
의 물 순환과 이상 기상 및 기후 변동의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속도 더 빨라진 6번째 대멸종…육지 척추동물 515종 멸종 직면"(종합)
연합뉴스
l
2020.06.02
논문 갭처. 재판매 DB 금지] [Rhett Buttler/Mongaba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금까지
지구
상에서는 5번의 대멸종 사건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6천600만년 전 소행성 충돌 등으로 공룡 등 당시 생물종 75%가 멸종한 사건을 비롯해 4억5천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말 대멸종, 3억6천만년 전 데본기 말 ... ...
해남서 한달 새 75차례 발생한 지진 "대규모 지진 전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교수와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학과 교수, 김성룡 충남대 지질학과 교수, 이준기 서울대
지구
환경과학부 교수, 조창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원이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속으로 발생한 지진은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지진 발생 깊이 5~15km 전후에 비해 다소 깊은 20km 부근 ... ...
이전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