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6,4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상당한 피해를 가져온 강진이 수차례 한반도를 강타했었습니다.”지진학자인 서울대
지구
환경과학부 이기화 교수의 설명이다. 우리나라에는 1905년 인천에 최초로 지진계가 설치됐다. 따라서 그 이전에 일어난 역사책에 기록된 지진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기술된 내용을 보고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07
힘차게 양손 엄지손가락을 내밀며성공을 자축했다.3분간 우주에 머물러고도 1백km는
지구
대기권이 끝나고 우주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우주경계점에 머무른 약 3분간 멜빌은 무중력상태를 경험했다. 이 짧은 순간동안 그는 가져간 ‘엠앤엠’ (M&M) 초콜릿 봉지를 뜯었는데 바둑알만한 원색의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07
그렇다 해도 뇌 자기장은 수십-수백fT 정도로, 약 50μT(마이크로테슬라, 1μT=${10}^{-6}$T)인
지구
자기장에 비하면 그 세기가 10억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처럼 약한 생체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저항이 없는 초전도 상태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양자간섭소자(SQUID)를 이용한 고감도 자기센서가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07
불그스름한 네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뛰어난 해상력 덕분에
지구
에서 2천3백광년이나 떨어진 이 천체가 실제 사각형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X자 모양임이 드러난 것이다.수백년마다 탑의 한단씩 형성돼성경에 따르면 대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후 노아의 자손들은 바빌론에 도시를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07
현재는 25%만 존재한다는 게 전 교수의 설명이다. 산불과 솔잎혹파리로 인한 피해에
지구
온난화와 기타 다양한 환경재해로 생겨난 피해까지 겹쳐, 이런 추세라면 50년 이내에 남한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그래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모든 보존활동을 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지구
기후의 실제 데이터와 잘 들어 맞는다. 흥미로운 점은 현재
지구
가 더워지고 있지만
지구
의 운동에 의한 예측은 이미 빙하기로 다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언젠가는 상승곡선이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07
하지만 불을 뿜는 동물과 한집에서 사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테니 어쩌면 우리는
지구
상에서 인간과 가장 가깝고 친근한 친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단지 재미있다는 이유로 개가 불을 뿜는 세상을 쌍수 들고 환영할 수는 없을 듯하다. 신기한 개가 사는 세상은 재롱둥이 애완견과 함께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07
소련이었다. 이 날 소련에서는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우주선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선회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소련에게 두번이나 패배한 셈이었다. 당시 존 F. 케네디 미 대통령은 모든 측면에서 미국과 소련이 힘의 균형을 이뤄야 세계 질서가 유지된다고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07
미스터리한 위성, 포이베를 2천km 거리에서 지나갔다. 이때 찍은 포이베의 선명한 모습이
지구
로 전송돼 천문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얻고 있다.토성은 31개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이 중 하나인 포이베는 여러면에서 다른 토성 위성들과 다르다. 대부분의 토성 위성이 토성의 적도면을 따라 도는데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07
단위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이 박사는
지구
와 사과의 크기를 비교해 이해를 도왔다.
지구
의 지름을 1m라고 생각할 때 사과의 지름은 1nm 가량 된다.학생들이 나노 세계에 흥미를 보이자 이 박사는 이날 사용된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가 물체의 표면과 ... ...
이전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