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20세에 역대 최고 학점으로 KAIST 수리과학과를 졸업한 오성진 교수가 올해 31세의 나이로 노벨상 수상자를 107명, 필즈상 수상자를 14명 배출한 세계적인 명문 미국 캘리포 ... 쉽지 않은 학문이어서 증가 속도가 점점 커지는 지수함수처럼 결국 오래 붙들고 있는 사람이 더 잘한다고 믿어요 ... ...
- [수학동아 10주년 특별인터뷰] 창간호부터 함께 한 수동키즈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결심한 건 초등학교 5학년 이후였어요. 그전까지는 수학자를 그냥 계산을 잘하는 사람 정도로 생각했어요. 그런데 지역 대학의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경험과 교수님의 권유로 읽은 책들이 수학자를 꿈꾸게 만들었어요. 존 더비셔의 , 사이먼 싱의 등을 읽으며 ... ...
- [맛있는 수학] 수학으로 나눠 먹는 생일 케이크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모든 사람이 케이크를 가지면 분배가 끝나는 식이죠. 동시에 외쳤을 때는 무작위로 사람을 선택합니다. 아주 간단하면서도 손에 땀을 쥐는 케이크 분배법이 되겠죠? 이걸로 게임을 해도 재미있을 것 같네요. 맛있는 케이크가 눈앞에 있으면 허겁지겁 먹기 바쁜데 이렇게 케이크 분배 문제를 고민한 ...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마지막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과학자들을 직접 만났습니다. 세계 각지에서 블랙홀을 관측하기 위해 노력한 연구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지난 4월 어과동 홈페이지를 통해 남긴 어과동 독자 기자들의 질문에도 대답해 주셨답니다! ┼인터뷰 “남극에서 블랙홀을 관측했어요!”_김준한(미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러면서 그는 “오히려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섬세하게 뚜껑을 벗겨내기 때문에 사람들이 병뚜껑 챌린지에 감탄하고 열광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Point 2 없으면 안 되는 마찰력이번에는 지금까지 없다고 가정했던, 병뚜껑이 병 입구의 나사산을 타고 올라갈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주목해보자. ...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대덕전파천문대 책임연구원과 함께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혈압을 잰 적이 있는데, 두 사람 다 혈압계로 측정할 수 있는 한계치를 넘는 수치가 나타났다. 그날 일정을 소화하고 다음 날이 돼서야 병원에 잠깐 들릴 만큼 휴식을 취할 수도 없는 바쁜 나날을 보냈다. 지금까지 고혈압 약을 복용할 만큼 ...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그리고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말도 입력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 사람의 감정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도 열심히 개발해야겠지요.이렇게 우리가 로보트 재권V에게 여러 감정을 표현하도록 열심히 가르치면 로보트 재권V는 다양한 얼굴 표정으로 다양한 말을 할 수 있게 될 ... ...
- 이탈리아 최초, 유럽 여성 우주인 최장 기록 세운 사만다 크리스토포레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했던 사실이 떠올랐다. 우리에게 김치가 있었다면, 이탈리아 사람들에게는 그게 에스프레소였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사만다는 2015년 비행을 마친 뒤에도 훈련과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달 저궤도 우주정거장 프로젝트인 ... ...
- [따끈따끈한 수학] 수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 수열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중에는 이제 백여 편 이상의 수학 논문에서 사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한번은 다른 한국 사람 두 명과 쓴 논문에서 순우리말로 나무라는 개념을 만들어 사용하면서 영어로 ‘namu’라고 표기하기도 했지요. 여러분도 롤러코스터처럼 재미있는 이름을 붙일 기회가 오면 기발하고 알기 쉬운 용어를 ... ...
- 루머의 루머를 밝히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부류의 사람들이 말해봤자 퍼지는 속도만 느려질 뿐이었고, 오히려 본인이 신뢰하는 몇 사람에게 소문을 듣는 게 루머가 더 빨리 퍼졌습니다.루머가 퍼지는 현상을 수학 모형을 이용해 밝힌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루머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근거 없는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