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방광(膀胱, bladder) , 네트워크(network)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걸러져 오줌이 되는 거죠. 오줌은 1분에 약 1ml(밀리리터)씩 꾸준히 생기지만, 다행히 우린 1분마다 화장실을 들락거릴 필요는 없어요. 방광에서 오줌을 모았다가 한 번에 배출시키기 때문이죠.방광의 크기는 약 400ml예요. 보통 방광에 오줌이 200~300ml 정도 모이면 ‘오줌이 마렵다’라고 느끼죠. 오줌은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산업 현장이나 방역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이번 연구가 발표된 논문의 제1저자인 이준호 연구원은 “앞으로 연구에서 로봇개가 험난한 지형에서 완전히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독감 백신 주사, 맞아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중요하다고 강조했어요. 이재갑 교수는 “현재 20~30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와 달리, 독감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먼저 걸린 이후 가족을 통해 전파되는 유형이 나타났다”면서 “백신 접종을 통해 어린이 독감을 예방한다면, 가족은 물론 사회 전체의 독감 확산을 막는 데 중요한 ... ...
- [한 장의 과학] 왜곡된 별빛을 찾아라! ‘나홀로 행성’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우리은하 중심부 원반 부근에서 나홀로 행성을 찾았어요. 이 행성의 질량은 지구의 3분의 1에 불과해요. 현재까지 발견된 나홀로 행성 중 가장 작지요.연구팀은 ‘중력 렌즈 현상’으로 이 행성을 발견했어요. 아주 먼 별에서 나온 빛이 관측자와의 사이에 위치한 천체의 곁을 지나가다 그 천체의 ... ...
- 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있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달에서도 지구처럼 싸자! 우주 화장실Part1.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Part2. 우주에서는 어떻게 화장실을 쓸까? Part3. 똑똑, 새 화장실 배달왔습니다~!Part4. 똥? 버리든가 먹든가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데이비슨의 팀, 미국-설명 : ‘THRONE’은 달 화장실의 이름인 ‘달 궤도 임계상 저장소 1’의 줄임말이자 ‘왕좌’라는 뜻의 영어 단어이다. 날개 없는 선풍기를 사용해 배설물을 모으고, 내부에 설치된 말려있는 비닐 봉지로 쉽게 용변을 처리할 수 있다.-심사위원 한마디 : “이 화장실은 진공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무거워서 위로 올라가지 않아 높은 비구름을 만들지 못하지요. 이런 탓에 나스카 사막은 1년에 고작 20분 정도만 비가 내리고 바람도 거의 불지 않아요. 석회 토양의 단단함도 그림을 보존하는 데 한몫했고요. 고양이 지상화를 발견한 페루 고고학자이자 나스카문화유산 관리책임자인 조니 이슬라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95.5%를 반사해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초백색의 페인트가 개발돼 화제였지요.지난 10월 21일, 미국 퍼듀대학교 쉬린 루안 교수팀은 빛 반사율이 95.5%인 초백색 페인트를 개발했어요. 기존의 백색 페인트의 빛 반사율이 약 80~90%인 것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지요. 연구팀은 암석이나 조개껍데기 등에서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절반은 부서진 채 블랙홀 바깥으로 흩뿌려졌어요. 이 과정에서 별의 구성물질이 초속 1만km의 속도로 방출되었죠.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대질량 블랙홀이라는 극단적인 환경에서 물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답니다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해마, 우리은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3억 년 후에 생긴 거예요.우리 은하는 나선형 은하로, 지름이 약 14만 광년에 두께는 1만 광년이 넘어요. 가운데로 갈수록 많은 별들이 몰려 있는데,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가 아니라 외곽 부분에 있지요. 견우와 직녀가 칠월칠석날에 만나는 다리인 은하수는 지구에서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