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논 먹는 하마 CC3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5분 만에 사라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기존의 제논 분리기술보다 7배 정확하고 20배 이상 많은 제논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이용한 차세대 가속기 연구 현황필자가 본격적으로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진 시기는 1997년 초 UCLA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을 때다. 당시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명성을 가지고 있었던 UCLA의 챈 조쉬(Chan Joshi)교수의 연구팀과 함께 연구하며 이 분야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었다. 2001년에 귀국해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전, 한 독자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지난 7월호에 나갔던 ‘귀신 여러분~ 찍습니다~ 김치!’에 대해서 의견을 써 주셨더군요. 귀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비물질적인 존재라 검출기를 만들 수도 없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그래서 그 반론에 대해 다시 반론을 ...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6.5㎝에 무게 420g으로 어린이 주먹만 한 크기다. 네 번째 3월 17일 경남 진주 집현면3월 17일 오전 경남 진주 집현면의 한 도랑에서 네 번째 운석이 발견됐다. 첫 번째 운석이 발견된 파프리카 농장에서 약 1.5㎞ 떨어진 곳이다. 이 운석은 가로세로 25㎝, 높이 16㎝에 무게 20.9㎏으로 진주에서 발견된 운석 ...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자국에서 세계수학자대회를 열기 위해 애를 쓴다.필즈는 노력 끝에 1924년 캐나다에서 제7회 세계수학자대회를 열 수 있었다. 이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유럽이 아닌 대륙에서 처음으로 열린 사건이었다. 게다가 필즈는 바로 이 대회에서 앞으로 매 대회마다 우수한 업적을 쌓은 두 명의 수학자에게 ... ...
- [시사] MARVEL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메리카 2>를 선보였다.그리고 드디어 마블의 10번째 영화인 가 7월 말 개봉했다. 올해의 야심작인 이 영화에서는 지금껏 지구를 무대로 한 마블 영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화려한 우주의 모습이 눈길을 끈다. 여기에 광대한 은하를 종횡무진 누비는 개성 넘치는 다섯 영웅들이 ... ...
- [체험] 신비로운 도형 아폴로니안 개스킷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길이가 10이라면, x가 6일 때 즉 반지름이 6보다 큰 원의 개수는 4개다. x가 2일 경우는 7개다.이처럼 x값에 따라 원의 개수가 달라지는데, 오희 교수는 어떤 규칙을 가지고 원의 개수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냈다. 이 문제는 오래된 난제였을 만큼 이것을 증명하는 일은 쉽지 않고, 그 규칙 또한 아주 복잡한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명랑해전, 1598년 임진왜란 기간 중 가장 많은 왜군 함선을 격침시킨 노량해전까지…. 7년 동안 남해 앞바다에서 왜군을 물리치고 나라를 지켜냈지. 그럼 이 모든 싸움에 거북선을 사용했냐고? 그건 아니라네. 거북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지.23전 23승이 아니라고?이순신 장군은 23번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표와 같다.박형주 - 아인슈타인 4, 박형주 - 맥스웰 6, 박형주 - 파인만 7, 박형주 - 할데인 7박형주 - 센 6, 박형주 - 굿만 7, 박형주 - 촘스키 5, 박형주 - 피아제 6보다시피 모두 얼마 되지 않는 거리다. 이런 연결성을 설명할 만한 예로 촘스키로부터 박형주 교수까지의 경로를 구체적으로 조사해 보았다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 증명 이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현상금을 건 새천년 (밀레니엄) 7대 난제 중 하나일 정도로 무척 어렵습니다. 아직 맞는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쓰고 있냐고요? 실제 현상과 상당히 일치하거든요. 그래서 공학 분야, 즉 비행기 날개를 설계할 때나 자동차를 유선형으로 디자인할 때,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