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립자가 소용돌이 친다과학동아 l198611
- 속도이므로 중간자의 속도는 빛의 속도 C보다는 작아야 한다)로 움직이고 있다고 하면(그림참조) A에서 생성되어 B에서 흡수될 때까지 시간 △t는 약$\frac{ΔX}{C}=\frac{{10}^{-13}cm}{30만km/sec}$ 일 것 것이다. 따라서 △t·△E=h인 불확정성 원리를 적용하면△E=mc²=$\frac{C·h}{△X}$ (E=mc² ...
- BASIC 강좌③ 데이타 입력과 프로그램 구성과학동아 l198611
- 이것을 프로그램의 대입문 또는 할당문(assignment statement)으로 활용한다. 프로그램은 (그림1)과 같다.이때 이미 배운 바대로 R=10을 사용하여 반지름의 값으로 10을 입력하고있다.(그림1)의 20번문을 R=25로 바꾸어 새로운 반지름에 대한 면적을 구하려면20번문을 수정해서 다시 실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 ...
- 천문학자 칼 세이건 최고의 인기, 돈, 명예…과학동아 l198610
- '세이건'에 한 것이었다. 그녀의 이름은 '앤 드루얀'(Ann Druyan).'세이건'을 위해 〈지구의 그림엽서〉를 그린 '린다'는 결국은 '세이건'의 새 여인이 쓴 소설 〈한 이름난 실연녀〉 그대로의 운명을 따라 부인의 자리에서 쫓겨나고 말았다. '세이건'과 '두루얀'은 그들의 결혼기념으로 〈혜성(Comet ... ...
- PART 2 기억구조를 해부한다과학동아 l198610
- 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그 증거로 처음에는 불과 7자릿수밖에 외우지 못했다고 한다.(그림1)대체로 머리가 좋은 사람일수록 기억력도 뛰어나다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 반대로 기억력이 뛰어난다고 해서 반드시 머리가 좋은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자동차나 비행기 등의 이름은 물론 ... ...
- 해양정보시스템 태풍 피해의 최소화과학동아 l198610
- 신속히 입수할 수 있도록 해양정보시스템을 발전시켜가고 있다. 정보 전달 체계는 (그림1)과 같다.이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실시간(real time)으로 운영되며 사용자에게 해양정보를 즉시 제공해 준다. 자료는 현재 해양연구소 VAN컴퓨터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재료를 재생하기 위한 특별한 ... ...
- 신금속과학동아 l198610
- 철이 저온에서 취성파괴를 일으키는 원인은, 철 원자의 배열상태, 즉 결정구조가 (그림1-a)에서와 같이 정육면체의 각 모서리와 그 내부의 중앙에 원자가 위치하는 체심입방정 즉 BBC(Body-Centered-Cubic)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취성파괴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원자의 결정구조가 ... ...
- IQ의 허와 실과학동아 l198610
-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구체적인 행동과 그기 이룩한 업적에 의해 판단된다. '훌륭한 그림을 그렸다'라든가 '새로운 이론을 발표했다' 등 행동과 업적의 내용은 매우 다채롭다. 또한 '경영자로서 회사의 발전을 비약적으로 이룩했다'는 내용도 포함된다. 이런 사람들이 반드시 학교성적이 좋았다거나 ... ...
- 돌다리도 두드려 건너자과학동아 l198610
- 사용하기로 하며 이 변수가 필요한 두 수 3 ,5 ,7 ,2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4) 문제 1의 프로그램 110 REM 두 수 중 큰 수 구하기110 CLS120 PRINT : PRINT : PRINT130 PRINT TAB(20) "두 수 X,Y을 입력하시오" ;140 INPUT X, Y150 PRINT TAB(20) " ...
- PART 1 두뇌는 어떻게 작동하나과학동아 l198610
- 심상이라고 한다. 마음 속에 그림이 없으면 생각할수도 없다. 생각할 때 느끼는 감정은 그림을 그릴 때 느끼는 감정과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창의력은 오른쪽 뇌의 기능이다. 신경과학의 발달은 신비에 싸여있는 뇌를 벗기는데 중요한 공헌을 하고 있다. 즉 기억, 감정, 사고가 모두 뇌의 통제에 ...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이식의 새로운 치료법과학동아 l198610
- 산소에 노출시키거나 자외선을 쪼이는 등의 방법을 써서 항원을 무력화시켰다. (그림참조)이렇게 해서 Type I의 당뇨병은 실험실의 동물에서 대단한 성공을 했다. 또한 15명의 환자가 수술을 받았는데 그 결과는 아직 확정적인것은 아니지만 '매우 고무적' 이라고 '마이애미' 대학의 당뇨과장 '다니엘 ... ...
이전3513523533543553563573583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