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암에 걸리면 암세포의 빠른 대사작용 때문에 그 주변의 피부에는 많은 열이 발생한다(
그림
3). 즉 암 덩어리가 0.5cm 크기로 되기 훨씬 이전에도 암세포의 대사가 왕성하기 때문에 체열촬영기로 유방암의 진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년 여성의 경우 매년 1-2회 정도 정기 검진을 받을 때 덩어리가 ... ...
실패로 끝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하고 멀리 떨어진 연구소에서 어떤 타깃이 있는지 맞추는 실험이 진행됐다. 그런데
그림
보다 비디오물을 타깃으로 삼았을 때 더 정확하게 맞춰냈다.우츠 박사는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 능력의 원리를 설명하려 했다. 우리의 눈이나 귀는 정지물보다 움직이는 대상에 대해 감지를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분해하여 보낸다 이론적으로는 주사선의 수가 많을수록
그림
의 분해능 혹은 선명도가 좋아진다전자기파를 주파수에 의하여 분류할 경우, 유사한 성질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일괄하는 범위 이 성질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편의상 30KHz를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나타낸다 그밖에 여러 부수적인 투영부에 의해 천구의 좌표계와 자오선, 별자리의
그림
과 이름, 세차운동, 연주운동 등을 나타낸다리보핵산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구조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핵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중심부와 이것을 싸고 있는 단백외각(capsid), 그리고 몇 ... ...
남성도 폐경기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새로운 뼈를 만들어낸다. 보통 파골세포의 작용 속도가 조골세포에 비해 빠른 편이다(
그림
). 이 두가지 상반된 작용이 균형을 이룰 때 뼈는 건강하게 유지된다. 뼈가 가장 단단해지는 시기는 35세.그러나 35세를 넘어서면 10년마다 평균 5-10%의 뼈가 소실되기 시작한다. 이때 남성과 여성의 뼈 소실 ... ...
통합소재 공략이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사진이 얻어지면 태양의 자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해설]인문,자연,예체능계 문제다.
그림
(가)는 광구를 찍은 모습이다.중심부는 밝지만 가장자리로 갈수록 어둡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태양 얼굴의 가장자리에서는 광구면과 대단히 작은 각을 이루기 때문에 우리의 시선이 광구의 하층부까지 ... ...
5. 기억력 높이는 필기법, 마인드맵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나온 부가지를 그린다. 물론 주가지와 깊은 연결성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도 단어는 물론
그림
또는 상징물이 허용된다. 강의를 들으면서 마인드 맵을 만드는 경우에는 나름대로 기록 순서를 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시계바늘 방향으로 순서를 정해 기록한다.어느 정도 기록이 완료되면 다시 ... ...
돈 위조방지 위한 8가지 첨단테크닉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인쇄. 또 돈의 일련번호와 총재의인이라는 빨간도장은 활판으로 찍혔다. 그리고 나머지
그림
들은 평판으로 찍어낸 것이다. 은행권에 대한 미니상식수명을 다한 지폐는 한국은행에서 종류에 따라 분리해 잘게잘게 쪼갠다. 재료가 솜이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건축용 내장재나 방음벽으로 다시 ... ...
부엌에서 찾아낸 과학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망치로 옆을 때리는 것 같다는 방송을 했다. 기장이 농담을 하는 것일까?두번째 수수께끼
그림
의 식물은 이상한 모양이다. 맨 위는 납작하고 넓고 녹색인 잎이다. 아래쪽은 긴 줄기의 길고 좁고 녹색인 잎이다. 이 식물은 어떤 환경에 살까? 세번째 수수께끼생물학자인 박씨는 연구 하기 위해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바꿔간다. 바람이 없는 맑은 날 지표면 근처의 기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림
3)을살펴봄으로써 대기운동의 변화를 함께 알아보자. 해가 뜨면서부터 가열되는 지표면은 오후 2시경에 가장 온도가 높다. 이때 높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율도 커서 하루 중 가장 불안정한 대기가 된다.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