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이탈리아의 천재 화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 ‘모나리자’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캔버스에 구현됐다. 작품의 크기는 고작 0.05μm²(제곱마이 ... 향후 신체 내에서 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박테리아 크기의 미세 로봇을 만드는
데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doi:10.1038/nature2465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심혈을 기울였다. 휘어지지 않는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아크릴 계열의 점착제를 썼는
데
, 실리콘 계열의 점착제를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특히 개발 과정에서 신축성 있는 점착제를 사용하면 디스플레이의 각 층이 휘어질 때 받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새로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구매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그런
데
가격 진입장벽이 꽤 높았다. 최근에 좀 내렸다는
데
HMD에 콘트롤러까지 98만 원. 그게 다가 아니었다. 가상현실을 렌더링(영상을 만드는 작업)하기 위해 필요한 고사양 컴퓨터가 150만~200만 원이었다. 결정적인 문제는 가상현실을 체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기기를 통해 얻은 생체정보로 손목의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분포를 패턴화하는
데
성공했다. 파장이 짧은 빛을 쏘면 상대적으로 피부 표면과 가까운 층에 머물게 되고, 파장이 길어지면 피부 표면에서 먼 층까지 도달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 시스템은 타인수락율(FAR·타인의 생체정보를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미국 하버드대 비스연구소(Wyss Institute)는 2016년 3D프린터를 이용해 심장 조직을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신준섭 서울대 의대 교수는 “3D프린팅은 장기의 형태를 지지하는 구조체나 뼈 등 면역거부반응이 거의 없는 조직을 만들 때 유리하다”며 “여기에 오가노이드를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교수의 논문에서 한 참여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진료하는 의사조차 ‘살았는
데
그 정도도 안 아프겠냐’며 핀잔을 줍니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니까 건강한 사람처럼 행동하기를 바랍니다. ” 장기기증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사후 수여자들의 부작용에 대한 이해도 절실합니다 ... ...
[Origin] 롯
데
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수 있다. 현재 표준연은 이터븀 광격자 시계의 불확도를 10-17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롯
데
월드타워에서 시간차를 측정하기에는 충분한 성능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관건은 이 불확도를 유지하면서 작은 트레일러 안에 광격자 시계를 넣을 수 있는지 여부”라며 “지금 진행하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이어가고 있지요. 모렐 교수는 2011년까지 여러 후속 연구를 이어오며 승승장구했는
데
, 그 뒤로 최근까지는 괄목한 만한 연구가 보이지 않아 필즈상 수상에 회의적인 입장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2017년에는 오랫동안 진전이 없었던 그로텐디크의 표준 가설에 관한 연구를 발표해 존재감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클래식음악을 뮤지컬로 만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함께 뮤지컬을 만든답니다.” “많은 사람이 일을 하면 어려운 점이 많을 것 같은
데
,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박상준 기자의 질문에는 다섯 명의 배우들이 함께 대답해 주셨어요. “일단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게 중요해요. 그래야 실수를 하거나 맞지 않는 부분이 생길 때 의견을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데
방해가 되었지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좀 더 부드러우면서도 가벼운 로봇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답니다. ➊ 록히드마틴사가 개발한 헐크(Hulc)➋ 하버드대 코너 월시 교수가 개발한 소프트 로봇.➌ 뇌 연결 실험을 하고 있는 라제시 라오 교수와 안드레아 스토코 교수의 모습. 하버드대 ... ...
이전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다음
공지사항